1997년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문화재단으로 경기문화재단이 문을 열었다. 지역문화재단의 25년 역사가 시작된 것이다. 문화재단은 현재 광역 단위에서 17개가, 기초 단위에서 117개가 설립·운영되고 있다. 경기지역에서도 31개 시군 중 22개의 기초문화재단이 이미 설립돼 운영 중이다. 지자체가 기초문화재단을 설립하는 이유는 간단하다. 문화정책 전문성을 제고하고 지역만의 문화를 꽃 피우기 위해서다. 하지만 이를 위한 지역 문화정책 전문성과 지역문화재단 역할의 한계 등이 여전한 상황이다. ■ 지역문화재단 본연의 역할 위한 자율성 확대 지역문화재단의 경우 도나 지자체의 출연금을 받는 태생적 한계에다, 수탁 사업 비중이 지나치게 커 도나 시의 문화관광과 사업을 대신 수행하는 사업소로 전락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에 지역문화재단이나 관련 문화기관 설립 본연의 취지를 살리려면 ‘독립성’이 우선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지난 12일 열린 ‘경기도 문화정책 포럼’에서 최영주 경기도문화원연합회 사무처장은 “지역문화재단을 포함한 지역문화기관단체의 자율성 확대가 정책 단위에서 선언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첫 번째로 문화 관련 사업의 과감한 이양이다. 문화재단이나 관련기관이 문화 관련 사업에서 자발적, 창의적 사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사업 수탁’이 아닌 과감한 이전이 동반돼야 한다는 것이다. 지역문화재단의 의사를 결정하는 이사회의 독립 및 재편성도 주요한 문제로 꼽힌다. 기초문화재단의 이사회 구성을 보면 대부분 이사장은 해당 지자체장이 이름을 올린다. 당연직 이사는 재단의 관리 감독 기관인 도나 시의 문화체육관광국 관계자, 협력단체, 대학교수 등으로 구성돼 있다. 이사회의 내부 결정에 따라 재단의 대표자나 운영 책임자가 결정되는 구조로 시장이나 재단 설립권자가 인사 지명이나 주요 사항 결정 시 이를 막기 어렵다. 한 지역문화재단 관계자는 “현재처럼 대부분 도 관계자나 협력단체, 유명인 등으로 구성된 의사결정 구조는 문화예술의 다양한 폭을 담아내기에 한계가 있다”며 “지역 대표성이나 장르별 등의 계열 등을 세분화해 포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문화기관단체 연대로 허브 플랫폼 구축, ‘문화전문가’ 양성해야 지역문화생태계 선순환 구조를 만들기에 지역은 얼마나 성숙돼 있는지를 걱정하는 목소리도 높다. 이 지점에서 광역을 포함한 지역과 기초문화재단, 지역문화원을 포함한 문화기관단체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최영주 사무처장은 포럼을 통해 “생활문화기반시설 확충보다는 기존 시설, 문화원, 문예회관, 문화의집, 생활문화센터, 도서관, 주민센터 등을 상호 소통과 협력, 연대 구조 마련 위한 광역 단위 허브플랫폼으로 구축하자”고 제안했다. 실제 경기도에는 2021년 기준 31개 모든 시군에 지역문화원이 있고 공공도서관 286개, 생활문화센터 15개, 문화의집은 10개가 마련돼 있다. 이를 연계한 광역 단위의 허브플랫폼에서 당면 문제 해결을 위한 아젠다 도출, 합의창구, 아카이빙을 진행하자는 것이다. 광역과 지역 간 일관된 문화 정책을 추진할 문화 전문가 배정도 필수다. 최 사무처장은 “광역 단위의 허브 플랫폼 구축은 물론 이러한 데 협력과 연대를 통한 보상이 주어지도록 예산이 배정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정자연기자
문화
정자연 기자
2022-05-29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