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은 누구나 성공 지향적 욕구를 가지고 태어나기 때문에 성공적인 삶을 살고 싶어 한다. 그러면 성공이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많은 사람들은 부(富)를 이루는 것, 높은 명예나 직위를 얻는 것, 권력을 누리는 것, 유명하게 되는 것 등을 성공이라고 이야기하곤 한다. 한마디로 타인에게 보여지는 그럴듯한 삶을 성공이라고 믿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에머슨의 ‘성공’이란 시를 보면 ‘자주 그리고 많이 웃는 것/ 현명한 이에게 존경받고 아이들에게서 사랑받는 것/···(중략)···/ 자기가 태어나기 전보다 세상을 조금이라도 살기 좋은 곳으로 만들어 놓고 떠나는 것/ 자신이 한때 이곳에 살았음으로 해서 단 한 사람이라도 행복해지는 것/ 이것이 진정한 성공이다’고 노래하고 있다. 다른 사람에게 보여지는 그럴듯한 삶이 아니라 내 자신이 이루어내는 행복한 삶을 성공이라고 보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성공의 방향성에 대해 생각해 보아야 한다. 행복의 근원인 만족은 밖에서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안에서 느끼는 것처럼, 성공도 역시 밖에서 들어오는 것이 아니라 내면에서 누릴 수 있는 기쁨임을 인식해야 한다.
또한 대부분의 부모들은 자녀들이 공부를 잘해서 성공하길 바란다. 그러나 미국 보스턴 대학의 헬즈만 교수팀이 성공에 가장 중요한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7세 어린이 450명을 대상으로 47세까지 40년간 추적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다른 사람과 잘 어울리는 능력’, ‘실패와 좌절을 대하는 태도’, ‘감정을 조절하는 능력’이 성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학교는 성공적 삶을 열어주는 교육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첫째, 다른 사람과 잘 어울리는 능력을 길러주어야 한다. 소통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다른 사람과 잘 어울리는 능력’이다. 그리고 이러한 친화력은 다른 어떤 능력보다 성공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둘째, 실패와 좌절을 대하는 의연한 태도를 길러주어야 한다. 특히 부모들은 자신의 자녀가 성공하고 행복하기만을 바라며 작은 실패나 좌절에 매우 당혹스러워한다. 그러나 진정으로 자녀를 사랑한다면 실패와 좌절을 두려워하기보다 슬기롭게 극복하는 방법을 가르쳐야 한다. 인생에서의 성공은 결국 실패와 좌절을 어떤 마음으로 대하고 이겨내느냐에 달려있기 때문이다.
셋째, 감정을 조절하는 능력을 길러주어야 한다. 감정은 좋고 나쁜 것이 없으며, 감정의 기복은 누구에게나 있다. 두려움, 분노, 불안, 걱정, 실망, 슬픔, 흥분과 같은 부정적 감정이라도 생존에 모두 필요하다. 두려움에서 안전을 생각하고, 분노에서 정의감이 생기는 것처럼 부정적 감정에서 긍정적 감정이 생성되기 때문이다.
인생의 최대 관심사는 행복과 성공이며, 우리는 누구나 행복한 삶을 원하고 성공한 삶을 바란다. 단지 사람마다 가치관과 개성이 다르고, 각자 추구하는 삶의 목표가 다르기 때문에 성공을 보는 관점만 다를 뿐, 성공을 지향하며 사는 건 똑같다.
그러나 행복하면 성공했다고 할 수는 있어도, 성공하면 행복하다고 할 수는 없다. 행복하지 않은 성공은 공허하고 아무 의미가 없다. 이런 점에서 아이들에게 먼저 성공의 방향성을 정립해 주어야 한다. 그리고 다른 사람과 잘 어울리고, 실패와 좌절을 딛고 일어서는 의연함과 감정조절 능력을 길러 성공적인 삶을 열어 주어야 한다.
정 종 민 경기도교육청 장학관
댓글(0)
댓글운영규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