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 로고
2025.07.01 (화) 메뉴 메뉴
위로가기 버튼

북한 "구축함 사고 책임자 구속…용납 안 되는 범죄행위"

진수 사고 후 위장막으로 덮인 북한 5천t급 구축함의 위성사진. 영국 싱크탱크 오픈소스센터 엑스 계정
진수 사고 후 위장막으로 덮인 북한 5천t급 구축함의 위성사진. 영국 싱크탱크 오픈소스센터 엑스 계정

 

북한이 진수 과정에서 전복한 새 5천t급 구축함과 관련해, 검사 결과 최초 발표한 파손 정도보다 심하지 않다고 밝혔다.

 

23일 조선중앙통신은 검찰 기관과 전문가로 구성된 구축함 진수사고 조사그룹이 지난 21일 청진조선소에서 발생한 중대 사고에 대한 본격적인 조사에 착수했다고 보도했다.

 

통신은 “수중 및 내부검사를 진행한 결과 초기발표와 달리 선저 파공은 없으며 선체 우현이 긁히고 선미부분의 구조통로로 일정한 양의 해수가 침수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했다.

 

또 전문가들이 “침수된 격실의 물을 빼고 함수 부위를 진수대에서 분리해 함정의 균형을 회복하는 데 2∼3일, 현측 복구에 10여일 정도의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전했다.

 

해당 내용을 보고 받은 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는 "함의 파손 정도가 심각하지 않다"면서도 "도저히 있을 수 없는 일, 도저히 용납할 수 없는 사고가 발생한 원인과 그에 책임있는 당사자들을 조사 적발할 것"이라고 알렸다.

 

이어 “아무리 함의 상태가 양호하다고 해도 이번 사고가 용납될 수 없는 범죄적 행위라는 사실에는 변함이 없으며 책임 있는 자들은 절대로 자기들의 죄과를 무마시킬 수 없다”고 강조했다.

 

더불어 “이번 사고를 중대사건화하는 것은 함의 파손유무나 경제적 손실 때문이 아니라 그 어느 부문이나 할 것 없이 만연되고 있는 무경각, 무책임성과 비과학적인 경험주의적 태도에 강한 타격을 주고 경종을 울리자는데 목적이 있다”고 했다.

 

북한의 법 기관은 현재 “책임이 명백한 대상들을 먼저 구속하고 조사하기 위한 절차”에 들어갔으며, 홍길호 청진조선소 지배인이 지난 22일 소환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북한은 새로 건조한 5천t급 구축함을 측면으로 진수하는 과정에서 함수와 함미의 이동 중 균형이 맞지 않아 함미 부분만 바다로 미끄러져 주저앉는 사고가 발생했다고 같은 날 밝혔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해당 사고가 “ 도저히 용납할 수 없는 심각한 중대 사고이며 범죄적 행위”라며 사고조사를 지시했다.

댓글(0)

댓글운영규칙

-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 대상을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법률에 의해 제해될 수 있습니다. 공공기기에서는 사용 후 로그아웃 해주세요.

0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