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 로고
2025.07.01 (화) 메뉴 메뉴
위로가기 버튼

최호섭 안성시의회 의원 “깊이 4m 싱크홀, 원인 분석 없이 땜질 처방 안돼”

안성시가 최근 공도읍 한 아파트 앞 도로변에 폭 3m에 깊이 4m 규모로 생긴 싱크홀의 안전을 점검하고 있다. 최호섭 안성시의원 제공
안성시가 최근 공도읍 한 아파트 앞 도로변에 폭 3m에 깊이 4m 규모로 생긴 싱크홀의 안전을 점검하고 있다. 최호섭 안성시의원 제공

 

안성시의회 최호섭 시의원(운영위원장)이 시민의 생명을 담보로 한 깊이 4m의 싱크홀 발생을 땜질식으로 처방하지 말라며 반발하고 나섰다.

 

최 의원은 지난달 29일 오후 안성시 공도읍 한 아파트 앞 도로변에서 주민 신고로 알려진 손바닥만 했던 싱크홀이 확인 결과 폭 3m, 깊이 4m의 대형 싱크홀이었다고 5일 밝혔다.

 

그러면서 신고를 받고 출동한 시가 문제를 접근한 상태에서 원인을 분석하지 않은 채 시민의 부상과 생명 등 안전을 뒤로하고 땜질식으로 일관했다며 반발했다.

 

최 의원은 싱크홀 발생 당시 겉보기에 손바닥만 했던 구멍 아래는 암흑이 드리워진 지하가 훤히 드러나 보이며 상상도 못 할 정도로 폭과 깊이가 상당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이 같은 싱크홀의 무서움을 시가 소중하고 고귀한 시민의 안전을 외면한 채 원인 분석 등 전수 조사를 하지 않은 채 복구에 나섰다고 주장했다.

 

최 의원은 맨홀 뚜껑 하부에서 장기적인 토사 유실이 발생한 것으로 파악했다.

 

최 의원은 노후 하수관과 상수관 주변에서 장기간 침식이 진행한 결과로 보고 있다고 밝혔으며 안성의 상수도 누수율은 전국 상위권에 속할 정도로 지하 기반 시설의 노후화가 심각한 지역으로 이번 사고와 같은 지반침하 위험은 어디서든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최 의원은 이에 따라 이번 싱크홀 발생은 문제의 근본을 찾고 구조적 재발 방지를 위한 대책을 마련하기 보다는 단순히 싱크홀을 되메우는 땜질식 처방으로 상황을 마무리해서는 안 된다고 행정을 꼬집었다.

 

최 의원은 “싱크홀 문제는 언제든 다시 발생할 수 있다. 상·하수도 전수조사와 도로 정밀 안전점검 계획을 수립해 이같은 싱크홀 문제가 재발하지 않도록 예방 조치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최 의원은 “주택가와 학교 인근 등 도로 취약 지역을 중심으로 진단 계획을 수립하고 시민들에게 투명하게 공개해야 하며 예산이 필요하다면 의회 차원에서 해당 예산 지원에 적극 협조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댓글(0)

댓글운영규칙

-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 대상을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법률에 의해 제해될 수 있습니다. 공공기기에서는 사용 후 로그아웃 해주세요.

0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