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동 가톨릭대 성빈센트병원 순환기내과 교수
뇌혈관이나 심장에 혈액을 공급해주는 관상동맥에 동맥경화가 발생해 나타나는 뇌졸중이나 심근경색과은 중년이후의 환자들에게 공포의 대상이 되고 있다.
그러나 말초혈관의 동맥경화로 발생하는 허혈성 질환은 대부분의 환자가 초기에 별다른 증상이 없어 질환이 상당히 진행된 후에 족부 괴사로 발현되는 경우가 적지 않아 주의가 요구된다.
특히, 당뇨나 흡연력이 있는 50세 이상 6천여명의 일반인을 대상으로 시행된 대규모 연구 결과에서 말초혈관 질환의 유병률이 29%나 됐고, 심장의 근육에 혈액을 공급해주는 관상동맥에 동맥경화가 있는 환자에서 말초혈관 질환이 동반되는 경우는 약 30% 정도로 보고되고 있으며, 말초혈관에 동맥경화로 인한 허혈성 질환이 있는 환자의 약 50% 정도에서 관상동맥 질환이 동반되는 것으로 조사돼 말초혈관질환에 대한 이해와 진단 및 적절한 치료가 매우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하지동맥 허혈성 질환은 하지동맥이 동맥경화 등의 원인에 의해 좁아지거나 완전히 막혀서, 다리나 발로 충분한 혈액을 공급하지 못해서 통증, 저림, 괴사 등이 나타나는 상태를 말한다.
초기에는 대부분 증상이 없지만, 동맥경화가 진행됨에 따라 동맥 혈관의 내경이 좁아지면서 걷거나 계단을 오를 때 엉덩이, 허벅지, 종아리 부위에 당기고 시리고 터지는 것 같은 통증을 느끼는데, 이것을 ‘파행’이라고 하며, 휴식시에는 대부분 이러한 통증이 사라진다.
하지동맥 허혈성 질환의 증상과 경과는 일정한 거리를 걸을 때 나타나는 하지 통증, 안정시 통증, 그리고 허혈성 궤양 또는 괴저 병변으로 다리를 절단해야 하는 경우까지 다양하다. 그러나 중요한 점은 증상이 없는 환자도 많다는 것이다.
하지동맥 허혈성 질환의 예방을 위해서는 혈관 질환의 위험을 높이는 흡연을 금하고,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의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 특히 흡연자는 비흡연자에 비해 질환에 걸릴 위험이 20배 이상 높다. 적절한 운동이나 식이요법을 통해 복부비만을 교정하는 것도 중요하다.
하지동맥 허혈성 질환 환자는 다리가 아파 장시간 걷지 못한다는 이유로 운동량이 부족하기 쉬운데, 이는 혈압·당뇨·비만 등의 위험요인을 악화시켜 하지동맥 허혈성 질환의 악순환을 초래하기 쉬우므로, 적어도 일주일에 30분씩 세 번 정도 걷기 등의 유산소 운동을 권유한다.
당뇨 환자의 경우에는 당뇨발의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 발은 항상 깨끗하게 유지하고, 발톱은 일자형으로 깎아야하며, 무좀균이 자라기 쉬워 발톱이 두껍고 불규칙한 경우가 많은데 반드시 무좀이 생기면 반드시 피부과 진료를 받아야 한다. 나일론 양말보다 두꺼운 면양말을 신어 피부를 보호하고 상처를 예방하고, 발 앞이 넓은 신발이 좋다.
끼는 속옷을 피하고, 항상 바른 자세로 앉는 것이 필요하다. 가부좌 자세로 오래 앉아 있으면 복숭아 뼈 부위에 상처가 생기기 쉽고, 발과 지면이 가까워서 온갖 잡균이 쉽게 감염돼 심각한 결과를 일으킬 수 있다. 예방을 위한 약물로는 저용량의 아스피린의 복용이 효과를 인정받고 있다.
댓글(0)
댓글운영규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