郡, 주차장 부지에 ‘좌판 확장’
“풍물시장 내 농산물을 직거래하는 무료 노점 좌판을 확장할 것이 아니라 임대료를 내지 않는 외지 장사꾼 단속이 시급합니다.”
24일 오전 11시께 강화 풍물시장에서 약초가게를 하는 A씨는 하루 영업을 접고 상인 100여 명과 군청을 찾았다. 강화군이 시장 주차장 부지에 무료 노점 좌판을 확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군수실 앞에서 상인과 공무원간 고성이 오가는 등 험악한 분위기를 연출하기도 했다. 상인들은 군수와의 면담이 이뤄지지 않자 민원실 로비를 점거한 채 농성을 벌이기도 했다.
풍물시장은 매월 2일과 7일 장날(5일장)이 열린다. 군은 장날에 한정해 노점상인(민속·제일 상인회 140여 명)과 지역 주민이 풍물상품과 직접 생산한 농산물을 판매할 수 있도록 무료로 노점 좌판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자리가 좁다는 생산농민의 민원에 따라 시장 주차장 부지 중 495㎡에 좌판 확장공사를 하면서 상인의 불만을 사고 있다.
특히 시장상인회(200여 명)는 ㎡당 1층 5만 원·2층 5만 9천 원의 임대료를 내고 있지만, 민속상인회(70명)와 재일상인회(70명), 생산농민(100여 명)은 무료로 노점 좌판을 운영하고 있다.
장날이면 상점보다 주차장 주변 노점 좌판에 관광객이 몰리면서 기존 상인과의 갈등이 이어져 왔다.
상인들은 “노상에서 판매하는 주민 대부분이 외지에서 온 전문 장사꾼으로, 지역 내 생산농민은 30%도 안 된다”며 “군의 느슨한 단속을 틈타 외지 장사꾼이 영업을 확장·조직화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 “가뜩이나 좁은 시장 주차장을 노점판매장으로 변경해 주차면이 부족해지면 결국 시장을 찾는 사람이 줄어 영업에 타격이 우려된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생산농가 B씨는 “노점 좌판은 할머니들이 직접 텃밭 등에서 생산한 농산물을 저렴하게 판매해 관광객이 많이 찾는다”며 “생산농가 직거래 판매장에 섞인 외지 장사꾼을 철저히 단속하면 큰 문제는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군 관계자는 “생산농민으로 가장한 외지 장사꾼을 철저히 단속해 시장상인의 불만을 해소하겠다”고 말했다.
한의동기자
댓글(0)
댓글운영규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