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 로고
2025.07.01 (화) 메뉴 메뉴
위로가기 버튼

인천 통합건강증진사업 전문인력 대부분 ‘기간제 종사자’

무기계약직 10명중 1명에 불과

인천지역 통합건강증진사업 전문인력 대부분이 기간제 종사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2일 이완영 국회의원(새누리·경북 칠곡·성주·고령)이 보건복지부로부터 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인천지역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 전문인력 235명 중 무기계약직은 11.9%(단시간 근로자 제외·6월 기준)인 28명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235명 중 무기계약직 28명을 제외하면 207명이 기간제 인력이다.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은 중앙정부 국가 주도형 사업방식에서 탈피해 지자체가 복지 사각지대를 찾아 지역 특성 및 수요에 맞는 건강증진사업을 기획·수행한다.

인천지역 무기계약직 28명은 간호사 15명, 영양사 5명, 물리치료사 1명, 사회복지사 1명 등으로 일부 직업에 몰리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경기도는 기간제 304명, 무기계약직 242명으로 비교적 대등한 비율로 나타났다.

특히 광주시는 무기계약직이 99명으로 기간제 11명보다 9배나 많았으며, 대전과 세종시 등도 무기계약직이 더 많았다.

또 서울, 강원도 등은 의사, 치과위생사 등 다양한 직종에 골고루 무기계약직을 배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의원은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 특성상 주민친화적으로 안정적인 보건서비스가 필수적인 만큼 비정규직이 아닌 정규직 형태의 고용 보장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용준기자

 

댓글(0)

댓글운영규칙

-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 대상을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법률에 의해 제해될 수 있습니다. 공공기기에서는 사용 후 로그아웃 해주세요.

0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