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여성청소년 생리용품 보편 지원사업과 관련(경기일보 6월20일자 1면 보도), 민주노동당 파주시위원회가 파주시 참여를 촉구하고 나섰다.
도내 11~18세 여성청소년이 지역에 상관없이 모두가 누리는 권리를 목표로 하고 있는데 파주시가 참여하고 있지 않은 점을 지적하고 나선 것이다.
민노당 파주시 위원회(위원장 김찬우)는 22일 ‘생리빈곤 없는 사회를 위해, 경기도 여성청소년 생리용품 보편지원'에 즉각 참여하라’라는 성명서를 내고 파주시의 동참을 촉구했다.
민노당은 “경기도가 전국 최초로 시행한 '여성청소년 생리용품 보편지원' 사업이 본래의 취지대로 운영되지 못하고 있다. 여성청소년 누구나 차별 없이 기본적인 건강권을 보장받아야 한다는 원칙이, 기초지자체의 판단에 따라 흔들리고 있기 때문이다”며 “안타깝게도 파주시 역시 이 사업에 참여하지 않아, 파주 여성청소년들이 정당한 권리를 누리지 못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월경은 여성이 겪는 자연스러운 생리 현상이지만, 그로 인한 비용과 불편은 오랫동안 개인의 몫으로 남아 있었다. 그러나 월경권은 분명한 건강권이자, 누구에게나 보장돼야 할 기본적인 인권”이라며 “월경용품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는 경제적 여건, 사회적 인식, 위생 환경 모두가 포함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민노당은 특히 “2016년 ‘깔창생리대 사건’이후 경기도는 2021년부터 생리용품 보편지원 사업을 시작했다. 도내 11~18세 여성청소년 누구나 연간 최대 15만6천원 상당의 생리용품을 경기지역화폐로 지원받을 수 있게 한 이 정책은 ‘지역에 상관없이 모두가 누리는 권리’를 목표로 하고 있다”면서 “그러나 지금 이 제도는 '사는 곳에 따라 누릴 수 있는 권리가 달라지는 제도가 돼 버렸다. 파주시 2만명이 경기도는 24만명이 생리용품 지원에서 소외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생리용품 지원은 단순한 복지를 넘어, 여성청소년의 건강권 보장과 사회적 불평등 해소, 올바른 월경 인식 확산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며 “특히 저소득층 청소년의 경우, 생리 빈곤이 사회적 불평등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모두가 차별 없이 지원받을 수 있는 정책이 절실하다” 고 촉구했다.
김찬우 민노당 파주시위원장은 “파주시가 여성청소년의 건강권과 월경권을 외면하지 말고, 경기도 생리용품 보편지원 사업에 즉각 참여할 것을 강력히 요구한다”며 “아울러 경기도는 지자체들이 예산 부담을 이유로 사업에 참여하지 못하는 현실을 개선하기 위해 재정 분담 비율을 조정하고, 시·군의 부담을 낮추는 등 제도 개선에 적극 나서라”고 촉구했다.
● 관련기사 : 사는 곳 따라 지원 못 받아... '생리용품 지원' 지역별 제각각 [집중취재]
https://kyeonggi.com/article/20250619580258
댓글(0)
댓글운영규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