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 로고
2025.07.01 (화) 메뉴 메뉴
위로가기 버튼

이호영 아주대학교 총장 인터뷰

각종 평가 결과가 뒷받침하듯 전국 최고 수준의 지방대학으로 자리매김한 아주대학교가 전임총장이 교육부장관으로 발탁되면서 BK21(두뇌한국) 선정과 관련한 특혜논란에 휘말리고 있다. 이 과정에서 아주대학교는 오히려 피해를 입었다며 반박하면서도 다른 대학들의 거센 반발에 곤혹스러워하고 있다. 또 모기업인 대우그룹의 강도높은 구조조정에 따라 아주대학교가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을 것이라는 일반적인 관심이다. 이에 본지는 이호영총장을 만나 세인의 관심이 되고 있는 문제에 대한 진솔한 입장과 아주대학교가 추구하는 변화의 방향을 들어본다./편집자주

-김덕중 전임총장이 교육부장관으로 발탁되면서 아주대학교의 BK21사업선정이 특혜라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는데 학교의 입장은.

▲논란의 핵심은 대우학원의 이사 2명이 기획위원으로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같은 주장은 ‘기획위원은 평가에 참여하지 않는다’는 점을 모르고 지적하는 것이다. 또 교육부장관으로 있어 평가위원들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면 국내 평가위원들일덴데 실제 높은 점수를 준 위원들은 국외활동 평가위원들이다. 오히려 학내에서는 이번 선정에서 의학분야가 떨어진 것을 몹시 아쉬워하고 있다.

-대우그룹의 구조조정에 따라 대우학원의 지원이 줄어들어 대학발전이 늦어지고, 취업이 줄어들 것이라는 우려가 높은데.

▲커다란 버팀목이 있는 대학이라는 이미지에는 충격일 수 있다. 그러나 대학도 항상 그룹의 지원만을 받을 수 없는 상황에서 자생력을 길러야하는 시점이다. 그동안 대우는 4천200억원이 넘는 지원을 건물중심으로 해왔고 이것은 대학의 획기적인 성장 밑거름이 됐다. 하지만 전입금이 학교운영비해 쓰여진 경우는 전체의 2.4%의 소폭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이제부터는 지원이 줄어들어도 학교운영에는 별 어려움이 없다.

지난해 졸업생들의 취업률이 72%인데 대우그룹에는 60명만이 들어가 전체적인 영

댓글(0)

댓글운영규칙

-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 대상을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법률에 의해 제해될 수 있습니다. 공공기기에서는 사용 후 로그아웃 해주세요.

0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