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 로고
2025.07.02 (수) 메뉴 메뉴
위로가기 버튼

김대통령 향후 정국운영에 관심

역사적인 남북정상회담을 성공적으로 마친 김대중 대통령이 향후 정국을 어떻게 이끌고 갈 것인지가 관심이다.

청와대의 한 고위 관계자는 18일 “일단 정상회담 후속조치를 차질없이 진행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정상회담 성공의 자신감 속에서 정국주도권을 행사해 나갈 것임을 분명히 하고 있다.

김 대통령이 15일 평양에서 돌아온 뒤 16일부터 전직 대통령, 3부요인, 한나라당 이회창 총재를 잇따라 만나고, 19일에는 김영삼 전 대통령과 오찬 회동, 20일에는 연초 이후 껄끄러운 관계 속에 있었던 김종필 자민련 명예총재와 만나기로 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특히 김 명예총재와의 ‘DJP 회동’은 민주당-자민련의 공조 복원이라는 측면에서 상징성이 크다.

자민련이 남북정상회담 이후 국가보안법 개정 문제에 전향적인 입장을 밝히고 나선 것도 향후 양당간 ‘의회 공조’ 전망을 낙관적으로 보게 하는 근거다.

김 대통령은 이러한 주변 여건의 호전에 힘입어 당정개편 등을 무리하게 강행하지 않고 현 내각으로 국정을 끌어갈 것으로 관측된다.

유리한 국면이 지속되고 있는데 무리수를 둘 필요가 없을 것이기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김 대통령은 지난달 말 국무회의에서 이한동 총리서리 국회 임명동의안 처리, 남북정상회담 임박, 금융시장의 안정을 위해 조기개각을 하지 않을 방침임을 밝힌 바 있다.

그러나 김 대통령의 이러한 언급은 정상회담 이후 총리 임명동의 절차가 끝나면 개각을 단행할 것이라는 의미로도 해석됐었다.

하지만 주식시장과 금융시장의 안정으로 경제 상황이 호전되고 있고 투신사 문제도 해결의 가닥을 잡아가고 있는 지금 시점에서 굳이 개각을 거론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분위기가 당정에 팽배해 있다.

하지만 이달 말과 내달 초에 경제 상황과 관련한 복합적인 변수들이 도사리고 있어 이를 현 경제팀이 어떻게 수습해 나갈 것인지 등이 조기 개각과 관련한 변수로 남아있다.

대야(對野) 관계도 문제다. 한나라당 이회창 총재가 17일 김 대통령과의 조찬회동에서 “야당으로서 짚고 넘어갈 것은 지적하겠다”고 말한 것처럼 상호주의, 통일방안의 국민적 동의, 국가보안법 문제 등의 갈등요소가 표면화할 것으로 관측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여권은 남북정상회담 후속조치의 순조로운 진행을 위해 정치적 안정이 긴요하고 야당도 새로운 조류를 외면하기 어렵기 때문에 ‘대화와 협력’의 기조는 깨지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댓글(0)

댓글운영규칙

-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 대상을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법률에 의해 제해될 수 있습니다. 공공기기에서는 사용 후 로그아웃 해주세요.

0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