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행부를 감시하고 견제해야 할 안산시의회 수장이 직원에 대한 인사이동 문제에 관여(?)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져, 과연 시의회가 시민들의 기대에 부응할 수 있을지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지난 6·2지방선거를 통해 시의원에 당선된 시의원들은 저마다 지역과 시민들을 위한 ‘일꾼이 되겠다’고 다짐하며 시의회에 입성 했다. 특히 안산시의회는 지난 6월 8억여원에 달하는 예산을 투입, 떠들석한 보수공사를 통해 기존의 2인1실이던 시의원실을 1인1실로 교체하며 “좀더 열심히 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
그러나 최근 당내 내홍을 겪으며 의장에 선출된 김기완 의장이 이미 결정됐던 것으로 알려진 시의회 직원 인사에 입김을 넣은 것으로 알려지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시는 지난 12일 A사무관이 명퇴를 신청함에 따라 후속 승진 및 전보 등 인사요인이 발생했다. 이에 시는 건강상의 이유로 자리를 옮긴 시의회 B담당 자리에 C계장을 내정, 통보하는 등 인사업무를 진행했다.
이같은 사실이 전해지자 김 의장은 인사부서 관계자에게 C계장 대신 D계장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때문에 “75만 시민과 함께 하겠다”고 약속한 신임 의장이 집행부를 상대로 한 첫 의정활동이 ‘인사 부탁(?)이냐’는 곱지 않은 후문이 일고 있다.
시의장은 의회에 인사 요인이 발생할 경우 의회의 사정에 따라 ‘인사조정’에 앞서 필요 인력을 시에 요청할 수도 있다. 그러나 김 의장이 인사 대상자에게 통보까지 한 집행부의 인사업무에 관여한 것은 의회의 권력남용이라는 시각도 있다. 시민의 대의기관인 시의회가 집행부를 견제하고 감시할 수 있는 힘을 갖는 이유는 시민의 대표라는 특수성 때문이다.
시의원들은 시민들로부터 위임받은 이같은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며 특히 이같은 특수성을 이용, 부당하게 인사에 개입하거나 이권에 개입 집행부와 자신을 선택해 준 시민을 혼돈에 빠트린다면 이 또한 시민의 힘으로 판단 받을 것이라는 것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김 의장은 “정식 절차를 밟아 이뤄진 인사로 알고 있다”고 해명하고 있지만 스스로에게 질문해 보길 바란다. 그게 과연 진실(?)이냐고? 구재원 안산 주재 차장
댓글(0)
댓글운영규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