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오는 2030년까지 기업과 함께 국내 반도체 업계에 총 510조원을 투자하겠다는 이른바 ‘K - 반도체 전략’ 을 발표하면서 경기도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경기도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반도체 산업 집적지인 만큼 이번 프로젝트의 가장 큰 수혜를 볼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K-반도체의 성공을 적극적으로 뒷받침하겠다고 나선 이들이 있어 관심이 쏠린다. 반도체 인재양성의 요람이라 불리는 ‘경기지역 반도체 교육기관’들이 그 주인공이다.
15일 산업통상자원부 등에 따르면 지난달 정부는 ‘반도체 종합대책’(K - 반도체 전략)을 발표했다. 발표의 핵심은 세금 감면, 대출 혜택 확대, 인력 양성 등 전방위적 지원책을 바탕으로 기업의 적극적인 투자를 이끌어내겠다는 것이다. 경기도를 중심으로 반도체 특화 단지를 조성해 세계 최대 규모의 ‘K - 반도체 벨트’를 만든다는 구상도 담겼다.
당시 정부의 발표에 발맞춰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국내 반도체 기업 153곳은 2030년까지 510조원 이상을 반도체 산업에 쏟겠다고 화답했다. 업계 역시 세제 및 금융 혜택, 규제 개선 등을 담은 정부의 반도체 전략이 국내 기업들의 글로벌 시장경쟁력 강화를 위한 도전에 마중물이 될 것이라 본 것이다.
국가의 미래 먹거리를 위한 대규모 프로젝트가 발표되면서 다시금 주목받고 있는 것 중 하나가 ‘인재 양성’이다. 첨단 기술이 집약돼 있는 산업인 만큼 생산부터 연구 개발까지 고도로 숙련된 인재가 필요하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다만 반도체 업계는 고질적인 인력난을 호소하고 있는 상황이다. 국내 반도체 전문 인력은 지난 2019년 기준 3만6천명 수준이다. 업계에선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향후 10년간 해마다 1천500여명을 추가로 확보해야 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에 다시금 강조되고 있는 것이 경기도가 현재 가지고 있는 반도체 인재 양성 인프라다. 새로운 교육기관을 만드는 것도 중요하지만 기존에 가진 것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지에 따라 글로벌 반도체 전쟁에서 우리나라가 승기를 거머쥐느냐, 못 쥐느냐가 달려 있다는 의미다.
도내 한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인력문제는 반도체 업계가 가지고 있는 고질적인 문제 중 하나”라며 “투입할 수 있는 자원의 양은 한정적이고, 결국 가진 것을 얼마나 잘 활용하느냐가 글로벌 반도체 전쟁에서 승패를 가르는 중요 요인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현재 경기도에 포진하고 있는 반도체 인재 양성 관련 기관은 크게 고등학교와 대학, 연구기관 등이다. 본보는 다가올 미래, K-반도체를 이끌어나갈 핵심 인재 양성기관들을 집중 조명하는 한편 이들이 가진 각양각색의 이야기를 담아봤다.
김태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