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경제규모 100조 시대 ‘제2경제도시’ 예약
민선 8기 유정복호의 인천을 부산 경제를 뛰어넘는 제2의 경제도시로 만들겠다는 구상이 현실화할 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8일 유정복 인천시장직인수위원회 등에 따르면 유 당선자는 4차산업·신성장 사업 육성을 통해 경제 규모 100조원 시대를 열고 인천을 제2경제도시로 만들겠다는 ‘100조 시대 제2경제도시 구축’을 핵심 공약으로 내세우고 있다.
유 당선자는 공약 추진을 위해 글로벌 기업과 국내 첨단산업 위주의 대기업을 인천에 유치하는 방안을 구상하고 있다. 인천권역별로 송도의 바이오 클러스터 육성 사업과 영종의 항공정비단지(MRO) 조성 및 공항경제권 육성, 청라에 수소에너지와 로봇산업 중심 클러스터 조성 등 미래 먹거리 사업을 육성해 기업들을 유치하겠다는 전략이다. 이 과정에서 유 당선자는 현재 진행 중인 주요 사업들을 공약에 포함, 안정적인 사업 추진이 가능하도록 계획했다.
특히 유 당선자는 4차산업·신성장 사업 육성 뿐 아니라 자영업자와 소상공인, 중소기업 활성화 대책까지 함께 제시했다. 유 당선자는 인천형 민생경제 회복지원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자영업자·소상공인·중소기업 근로자 공제조합 설립을 약속했다. 아울러 유 당선자는 특별법 제정을 통해 지역 은행인 인천은행을 설립해 금융 역외유출을 줄이고 인천e음 카드의 운영방식을 개선해 전통시장과 골목상권 등에 혜택을 늘리는 방안도 추진한다.
하지만 유 당선자의 공약이 현실화하려면 공약의 핵심인 미래첨단 성장산업 육성에 대한 수도권 규제 등 제약을 극복할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미래먹거리 사업은 도시 간 경쟁이 치열한 만큼 수도권 규제가 인천이 사업을 유치하는 데 불리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수도권은 조세특례제한법, 소득세법, 주택법, 간선급행버스체계의 신설 및 운영 특별법, 국가균형발전특별법, 지방세법 등 규제 사항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또 세부 공약에 담긴 글로벌 대기업 투자유치 전략이 유 당선자의 또다른 공약인 ‘뉴홍콩시티 건설’로만 이뤄진 것도 부족한 점으로 꼽힌다. 뉴홍콩시티 건설 공약이 큰 밑그림만 있는 모호한 상태인 탓에, 자칫 실현 가능성이 덩달아 낮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뉴홍콩시티 건설 사업 부지에는 서구 수도권매립지를 포함하고 있어 수도권매립지의 대체매립지 문제 등에 대한 해결이 먼저 이뤄져야 한다.
유 당선자는 “민선 6기 때 인천은 제2의 경제도시를 달성했으나 현재 특·광역시 3위의 경제규모로 하락했다”고 했다. 이어 “사업을 차질없이 준비해 대기업을 유치하고 첨단 산업을 육성하며 자영업자들을 집중적으로 지원해 경제가 돌고 일자리가 넘치게 하겠다”고 말했다.
이민수기자
댓글(0)
댓글운영규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