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의료기관들 타지 환자까지 수용 ‘한계 도달’ 정부 ‘미설치 지역 우선’ 기조에… 역차별 우려 도내 의료계 “환자 수요·병원 인프라 등 고려해야” 보건복지부 “선정위 통한 객관적 종합 평가 할 것”
전국 소아청소년 환자들이 이미 경기도 의료기관에 집중되고 있는 게 현실이다.
현재 의료 당국은 2024년도 소아전문응급의료센터 추가 지정을 논의하는 단계로, 이 과정에서 경기도에 대한 지원이 보태져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된다.
■ 전국 소아환자 경기도로…전문센터 1곳만으로 감당 벅차
앞서 지난해 8월 경기지역 의료기관과 의료단체 관계자 등은 ‘소아응급 진료체계 개선 대책 회의’를, 같은 해 하반기엔 ‘경기응급의료지원센터 정책토론회’를 각각 진행한 바 있다.
이 안에서 오간 공통적인 의견 중 하나는 경기도에 ‘소아전문응급의료센터’가 추가 지정될 필요가 있다는 내용이었다. 현재 성남에 지정된 1곳(분당차병원)만으로는 경기도 전체 소아 응급환자 수요를 감당하기 어렵다는 이유에서였다.
7일 경기일보가 확보한 당시 자료들과 국립중앙의료원·중앙응급의료센터의 각종 현황 자료 등을 종합하면, 지난해 상반기(2023년 1~6월) 기준 ‘경기도 내 주요 12개 응급의료기관의 15세 미만 소아응급환자 내원 수’는 ▲분당차병원(1만5천358명) ▲아주대학교병원(1만4천291명) ▲분당서울대학교병원(6천593명) ▲한림대학교성심병원(5천978명) ▲고려대안산병원(5천875명) 순으로 많았다.
이들은 ‘경기도 환자’만 맡는 게 아니다. 서울·충남·충북·인천·강원 등 전국에서 환자가 몰리면서 그 수까지 수용하고 있다.
위에 언급된 한 병원을 특정해 지난해 상반기 ‘응급실을 방문한 18세 이하 환자의 연고지’를 분석해 봤다. 그 결과 경기도 거주자가 5만7천825명이었고 그 외 서울 371명, 충남 358명 등 여타 지역 거주자가 1천796명이었다. 병원 한 곳만 봐도 반년간 1천800명에 달하는 외지 환자가 경기도 응급실로 밀집됐다는 의미다.
■ “미지정 지역 우선 대상, 경기도 역차별”
지역 의료계에선 경기도 내에 소아전문응급의료센터가 추가 지정돼야 한다고 주장한다. 충분한 여건과 인프라가 갖춰진 곳들이 있으니 “추가 지정을 통해 소아환자를 진료하는 다른 병원들이 함께 숨통 트이게 해달라”는 목소리다.
현재 보건복지부는 2개소의 소아전문응급의료센터를 추가 지정하도록 논의하는 단계로, 지난해 12월15일까지 신청서를 받았다. 경기도를 포함해 전국 4개 지역에서 4개 병원이 ‘도전장’을 낸 상황이다.
이 안에서 1차 지정은 다음달(2월) 중 이뤄지게 되며, 보건복지부를 비롯해 소아 관련 전문가 등으로 꾸려진 선정위원회가 지정 기준 충족 여부 등을 확인해 오는 6월 최종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하지만 경기도엔 소아전문응급의료센터(1곳)가 이미 기지정된 상태여서 실질적으론 충북·전남·강원 등 ‘미지정’ 된 지역이 선택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온다. 정부가 지난 2022년 말부터 소아전문응급센터 미설치 지역을 우선 대상지로 못 박았기 때문이다.
특히 전북도의 경우 0~18세 소아청소년 환자의 의료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지역 내 지정을 적극 추진하며, 정부와는 별개로 전북도 차원의 지원도 계획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따라 경기도 의료기관에선 ‘경기도 역차별’을 우려하고 있다. 환자는 경기권에 오고 있고, 고품질의 의료 서비스도 갖춰야 하는데, 정작 추가 지정은 되기 어려운 분위기이기 때문이다. 지역 의료계에선 환자 수요나 병원 인프라 등을 고려한 객관적인 평가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한다.
경기도 역시 공감하는 모양새다. 도 관계자는 “이번 추가 지정 과정에서 경기도 병원 1곳이 신청을 한 상황이고, 도에서도 이 사안에 관심 갖고 보건복지부 측에 ‘경기도 지역에 소아전문응급의료센터 추가 지정이 필요하다’는 내용을 건의했다”면서 “최종 평가가 이뤄질 때 경기도 차원에서도 참석해 적극적으로 힘을 실을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 소아환자 진료 임계점 도달…“지자체, 정치권 관심 절실”
한림대학교 동탄성심병원,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등 경기도 내 대형 병원들은 이미 환자 과부하로 야간에 소아 응급실을 운영하지 못하는 등 임계점에 도달했다.
경기도가 ‘기지정’ 지역이라는 이유로 이번 결과에서 배제돼 소아전문응급의료센터를 추가적으로 지정받지 못한다면, 소아청소년 환자들의 골든타임이 위기가 될 수밖에 없다.
경기도 내 한 의료기관 관계자는 “단순히 지역별로 안배한다는 건 난센스다. 경기도 병원들이 자기 욕심 때문에 지정되려는 게 아니라 소아환자를 진료하는 1분 1초의 상황 자체가 급하기 때문에 추가 지정해달라고 요구하는 것”이라며 “쉽게 말해 ‘환자를 받을 수 있느냐, 없느냐’의 문제인데 사람을 살리기 위해 지자체와 지역 정치권의 관심이 절실한 시점”이라고 전했다.
이에 대해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재작년 말부터 소아의료대책 발표 등을 통해 ‘소아전문응급의료센터 미설치 지역’을 우선순위에 둔다고 안내한 바 있다. 이 기조로 봤을 땐 경기지역은 미지정 지역에 비해 순위가 밀릴 수밖에 없는 게 사실”이라며 “현장 평가와 사업계획서 평가, 의료기관들의 발표 등을 거쳐 선정위 위원들이 객관적인 종합 평가를 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0)
댓글운영규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