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 로고
2025.07.01 (화) 메뉴 메뉴
위로가기 버튼

공정언론 국민감시단, 공정언론대토론회 성료…건강한 언론 생태환경 조성 6년째 논의

공정언론국민감시단이 주최한 제6회 공정언론행정 대토론회 개최 현장. 공정언론국민감시단 제공
공정언론국민감시단이 주최한 제6회 공정언론행정 대토론회 개최 현장. 공정언론국민감시단 제공

 

지역 내 건강한 언론 생태계 환경 조성을 위한 논의가 6년째 이어지고 있다.

 

공정언론국민감시단은 하남시문화예술회관 아랑홀에서 ‘5년간의 추적/멈추지 않은 사이비 언론의 발호, 이제는 행정 공동대응과 제도적 접근을 통한 근절’을 주제로 ‘제6회 공정언론대토론회’를 개최했다고 25일 밝혔다.

 

그간 시민감시단의 활동 성과를 공유하며 실질적인 제도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다.

 

이날 토론회에는 윤태길·오지훈 경기도의원, 김부선 하남시공정무역협회 대표 등이 참석했으며 이현재 하남시장, 송석준·안태준 국회의원, 주광덕 남양주시장, 김경희 이천시장, 방세환 광주시장, 이충우 여주시장 등이 영상으로 축하했다.

 

토론회 좌장인 김서중 성공회대 교수는 “언론 자유 침해 우려가 있지만 현 상황에서는 제도적 접근이 불가피하다”며 “조례가 악용되지 않도록 신중히 접근하고 시민 참여가 반드시 수반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토론에 나선 안진걸 민생경제연구소장은 “중앙언론조차 정부지원금을 편취하는 사례가 있다”며 조례 제정 시 공익성 기준 강화의 필요성을 제기했고 김용춘 법학박사는 ‘지역언론 평가단’ 도입 등 새로운 접근을 제안했다.

 

김은준 어머니감시단 하남본부장은 “수백개 언론사 중 실질 취재는 소수에 불과하다. 언론 신뢰 회복을 위한 기준 마련이 필요하다”고 촉구한 데 이어 김희중 한남문화원 이사는 “언론을 통해 수익 창출은 정당할 수 있으나 언론의 외피를 씌운 수익만 추구하는 구조는 문제로 지원정책의 형평성을 위해 외부 평가위원회 도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박선미 하남시의원은 “현행 조례는 임의 규정으로 예산 집행이 어렵다”며 강행 규정을 포함한 ‘공정언론 국민감시단 지원 조례’ 제정 가능성을 내비쳤다.

 

청중토론에서는 “기자 자격 기준이 있는지 모르겠다”, “광고비 집행의 기준이 너무 자의적이다” 등 질문 및 언론과 광고주 간의 건전한 관계, 기자 자질 문제 등도 언급됐다.

 

공정언론 국민감시단 관계자는 “5년간 이어온 활동이 결실을 맺는 시점”이라며 “하남시를 시작으로 각 지자체로 조례안이 확산돼 신뢰받는 지역 언론 환경 조성에 기여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댓글(0)

댓글운영규칙

-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 대상을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법률에 의해 제해될 수 있습니다. 공공기기에서는 사용 후 로그아웃 해주세요.

0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