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남시의 인허가 지연 등으로 난항 중인 동서울변전소 변환설비 증설사업 물꼬를 트기 위해선 한국전력공사 측의 보다 통 큰 결단이 요구되고 있다.
아트센터와 같은 대형 주민친화시설물로 해법을 찾는 현실적 방안 등이 제시되고 있어서다. 앞서 한전은 인허가 지연 해소방안으로 최적 경관디자인 확보에다 아트센터 등 통큰 지원을 고민(경기일보 11일자 인터넷)한 바 있다.
25일 한전과 하남시 등에 따르면 한전이 국가 송전망 건설사업의 일환으로 추진 중인 감일동 소재 동서울변전소 변환설비 증설사업이 난항을 겪고 있다. 지난해부터 시작된 옥내화 인허가 건까지 감안할 경우, 줄잡아 1년 가깝게 지연되고 있다.
그런 사이 한전 등 국가 차원에서 감당해야 할 직간접 비용이 수천억원에 이르면서 국가적 손실이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런데는 동서울변전소 소재 감일동 주민 반발이 주된 이유로 반전을 위해선 서울 서초구 한전아트센터와 같은 획기적 주민 친화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아트센터 건립비는 4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그러면서 전자파에 대한 주민 우려를 불식시켜 가는 홍보에 주력하는 한편, 주민들이 희망하는 최적의 동서울변전소 외관 디자인 확보가 해법으로 제시된다.
하지만 한전은 자칫 변전소 증설때마다 무려 수백억원이 투입되는 시설을 지어주는 사례가 될수 있다는 점에서 녹록찮은 모양새다.
이현재 시장은 “전자파에 대한 주민 우려를 해소하고, 랜드마크형 변전소 조성은 물론, 아트센터와 같이 주민들이 확실하게 체감할 수 있는 혜택을 한전 측이 제시한다면 도움이 될 것”이라며 “국가사업을 위해 주민들이 무조건 양보해야 한다는 논리보다는 한전이 주민들을 설득해 상호 윈윈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남시도 행정행위를 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동철 한전 사장은 “하남 주민들의 요구사항을 최대한 만족시켜 드리려고 하지만, 예산범위 내에서 합리적인 수준이어야 한다”며 아트센터 건립 지원시, 자칫 사례가 될수 있음을 우려하고 있다.
다만, 한전 실무 관계자는 “변환설비 증설에 따른 인허가가 순조롭게 진행될 경우, 한전이 아트센터 건립 등을 고민할 수도 있지 않겠느냐는 의견이 있었던 건 맞다”면서 “지속적인 소통을 통해 변환소 증설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전자파에 대한 오해를 풀어 주민 수용성을 최대한 높여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한전은 현재 감일지구 거주민 전체를 대상으로 '변전소 및 변환소 경관 개선안'에 대한 선호도 조사를 시행 중인 가운데 변전소 외관을 공장형이 아닌 주민 친화적인 랜드마크형으로 조성할 방침이다.
● 관련기사 : '하남 동서울변전소' 주민선호 최적 디자인… 아트센터 등 통큰 지원 '가능성'
https://kyeonggi.com/article/20250511580151
댓글(0)
댓글운영규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