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 로고
2025.07.01 (화) 메뉴 메뉴
위로가기 버튼

하남 교산A21블럭 이주택지 변경…주민 공공주택 기본설계 중단 촉구

3기 신도시로 개발되는 하남 교산신도시. 하남시 제공
3기 신도시로 개발되는 하남 교산신도시. 하남시 제공

 

정부의 3기 신도시로 개발되는 하남 교산지구 원주민들이 경기주택공사(GH)를 상대로 A21블록(공공분양)에 대한 공공주택 기본설계 공모 중단을 촉구하는 등 반발하고 나섰다.

 

해당 블럭에 대한 지구계획 변경 후 이주자택지로 전환, 원주민들의 재정착을 적극 유도해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LH 및 하남시 등과 함께 지구계획 변경 등을 위한 논의가 오가며 현재, 협의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29일 하남 교산신도시 원주민재정착위와 하남시 등에 따르면 GH는 3기 신도시 하남 교산지구 A21블록에 대한 공공분양(대지면적 3만6천893㎡, 347가구)을 위해 지난달 13일 국토부의 공공주택 사업 물량계획을 토대로 기본설계 공모에 착수했다.

 

이에 교산 원주민재정착위가 반발하면서 중단을 촉구하고 나섰다. 현재 LH 및 하남시 등과 함께 A21블록에 대해 이주자택지로 전환하는 안을 놓고 협의 중인데도 GH가 당초 국토부 사업물량 계획대로 기본설계 공모를 시작했다는 이유에서다.

 

실제 재정착위원회는 그동안 교산지구 내 A21블록에 대해 원주민 이주대책에 포함시켜 줄 것을 요구하면서 공동주택건설용지 요구대상 필지를 놓고 지난달 25일 부터 LH, 하남시 등과 3자 협의 물꼬를 텄다. 이 과정에서 LH는 제도 개선 방안 및 공급 가능성 등에 대한 검토 의사를 보이면서 원주민들의 요구안 수용에 대한 기대감을 낳고 있다.

 

사정은 이런데도 GH가 기존 계획에 따라 공모 절차에 돌입, 교산 원주민들의 반발을 부채질하고 있는 모양새다.

 

image
하남 교산신도시 원주민재정착위원회 장준용 위원장

 

재정착위원회는 그동안 A21 공공분양의 경우, 교육이나 교통편의가 양호한 역세권으로 지구계획 변경하고 A21블록을 연립주택용지로 변경, 원주민들을 위한 이주자택지로 전환해 줄 것을 요구했다. 정부의 토지강제 수용에 따른 신도시 개발로 고향을 떠날수 밖에 없는 원주민들을 위한 최소한의 배려책이란 주장이다.

 

장준용 위원장은 “해당 부지는 원주민 재정착을 위한 최적지로 현재 LH와 협의하고 있는 곳으로 하남시와 GH, LH 등의 협조가 필요하다”면서 “교산신도시는 14개 집단 주거지를 모두 수용해 이주자대책 대상자만도 430명이 넘는다. 지난 5년 전부터 원주민들은 수용 주민들의 공동주택 단지 조성을 위해 제안하고 노력해 온 만큼, 이번 기본설계 공모가 철회되고 나아가 지구계획 변경이 이뤄질 수 있도록 힘을 모으겠다”고 말했다.

 

한편, GH는 A21블록 공동주택 기본설계 공모와 관련, 8월 중 작품 접수 후 1, 2차 심사 등을 통해 최종 당선작을 선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댓글(0)

댓글운영규칙

-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 대상을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법률에 의해 제해될 수 있습니다. 공공기기에서는 사용 후 로그아웃 해주세요.

0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