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 로고
2025.07.02 (수) 메뉴 메뉴
위로가기 버튼

강화 ‘교동평화산단’ 조성 속력

‘南 산업단지 + 北 노동력’… 남북경제 공동체 모델 창출 기대

인천시가 북한의 노동력과 남측 기술·자본이 결합한 역(逆) 개성공단 개념의 강화교동평화산업단지 조성사업을 본격 추진하고 나섰다.

 

4일 시에 따르면 개성공단과 해주경제특구 구상과 연계, 강화군 교동면 난정저수지 일대 3.45㎢에 단계별로 남·북이 공동으로 산업단지를 조성키 위한 기존 계획인 ‘강화교동평화산업단지 조성방안’용역을 오는 11월 발주할 계획이다.

 

이번 용역에는 남측(인천시)이 공장설립 등 산업단지를 조성하고, 북측은 근로자를 파견하는 형태의 역(逆) 개성공단 개념을 기본 틀로 산업단지의 적정규모, 개발주체, 분양방식, 입주 업종 등 전반적인 개발 방식과 남북 간 역할분담 등에 대한 내용들이 담긴다.

 

산업단지 조성에 따른 정치·경제·입지적 타당성을 분석하고, 서해5도의 문화·역사적 가치를 높일 수 있는 산업문화단지 조성방안도 포함됐다.

 

시는 추진 주체별로 정부와 시, 민간 등 3주체간 협력 방안과 공적 및 민간 재원조달 방안 등을 비롯해 이 산업단지를 관리하는 관리공단 운영에 대한 방향도 제시할 계획이다.

 

특히 개성공단과 해주경제특구 등 3개 지구 기능 분담과 물류 네트워크 구축, 인력 공급 등도 검토되며 서해안경제벨트 내 주요 도시들과 환황해도시들과의 협력방안도 마련된다.

 

시는 이에 앞서 지난 1월 전문가 토론회에 이어 지난 3월 인천발전연구원에 강화교동평화산업단지 조성 필요성과 당위성 등을 마련하기 위한 정책연구를 의뢰했다. 이 연구가 끝나는 대로 정부와 협의에 나설 계획이다.

 

시는 강화교동평화산업단지가 조성되면 남북경제 공동체가 형성돼 한반도 긴장 완화가 이뤄지고 관광·문화 교류를 통한 인적왕래의 활성화로 남북경제 공동체 모델도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교동은 지리적으로 동북쪽으로 개풍군과 8.5㎞, 연백군과 3㎞ 등으로 인접해 있어 이곳에 산업단지가 조성되면 동북아 최고의 산업클러스터가 가능하다”며 “용역이 끝나는 내년 7월부터는 단지 조성을 위한 설문조사와 법·제도적 장치 마련 등을 중앙부처와 상의하겠다”고 말했다.

 

이민우기자 lmw@ekgib.com

댓글(0)

댓글운영규칙

-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 대상을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법률에 의해 제해될 수 있습니다. 공공기기에서는 사용 후 로그아웃 해주세요.

0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