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 나간 교직자들이다. 일부 관리직들이 검찰 소환을 앞둔 나근형 인천시교육감 구명을 위해 일선 교사들에게 탄원서 서명을 강요하고 있다니 어안이 벙벙하다. 사회적 파장을 크게 일으킨 엄청난 인사비리 사건의 심각성도 모르는 철없는 짓들이다. 호된 질책을 받아 마땅하다.
나 교육감은 측근 10여명을 4급으로 승진시키기 위해 근무평정을 조작하도록 관계직원에 지시한 혐의를 받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인천교육계 수장으로 12년 간 군림하면서 장학관·교장·교감 등 관리직에 대한 근무평정 조작도 했다는 잡음이 파다한 상태다.
인천지검은 그동안 관계직원 조사를 마치고 나 교육감을 소환 조사키로 했으나 돌연 기일을 늦췄다. 검은돈 거래 등 새 혐의점이 포착돼 보강수사가 필요한 때문이 아니냐는 말들이 검찰 주변에서 나오고 있다. 특히 검찰은 나 교육감의 재산증식 과정의 석연치 않은 부분을 눈여겨보고 있다.
검찰은 나 교육감이 지난 2010년 교육감 당선 이후 재산신고액이 14억3천만원 이었으나 2011년엔 18억4천만원으로 급증했고, 지난해엔 20억3천868만원으로, 1년 만에 1억9천828만원이 증가한 점에 주목하고 있다. 나 교육감 측에선 당연히 위기감을 느낄 만 했을 것이다. 그래서 나온 것이 나 교육감 측근 간부들의 탄원서 서명운동이 아닌가 생각된다.
전교조 인천지부엔 탄원서 서명 강요 관련 제보가 10여 건에 달한다. 서명 작업은 일선 학교 교장·교감 등 관리직이 주도하고 있다. 일부 학교에선 누굴 위한 탄원서라는 사실을 밝히지도 않고 서명을 강요, 교사들의 반발을 사고 있다. 나 교육감에 비판적인 교사에겐 탄원서를 내밀지 않고 암암리에 이뤄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스스로 떳떳하지 못한 행동임을 자인한 셈이다.
탄원서 서명 강요를 주도하는 관리직들은 나 교육감 인사비리의 수혜자일 것이라는 오해를 받을 소지도 없지 않다. 물론 상사의 처벌을 가볍게 하기 위한 서명운동은 인지상정일 수 있다. 그러나 그것도 상식선에서 자발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사안의 중대성도 모르고 사회분위기와 동떨어진 강요는 얼빠진 짓이다.
서명 주도 간부들은 교육감의 인사비리로 승진이 미뤄지는 등 피해를 본 상당수 인사들의 피맺힌 고통을 잠시라도 생각이나 해 봤는가. 교육감 비리를 감싸려는 일그러진 교사상(敎師像)이 실망스럽다. 이들이 학생들을 가르치겠다고 교단에 서는 것이 가증스럽다. 서명 강요는 즉각 중단돼야 한다.
댓글(0)
댓글운영규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