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말 재외동포청 신설이 확정됐다. 현재 재외 한인은 732만명에 이른다. 부처별로 분산돼 있는 재외동포 관련 민원 서비스를 원스톱으로 제공한다. 문화 홍보와 차세대 교육, 네트워크 활성화 등 기존 재외동포재단 사업들도 합쳐진다. 외교부는 3개월 이내에 청이 들어설 입지를 정하는 등 개청 준비에 들어갔다. 이에 인천시민들은 현재 한마음으로 재외동포청 인천 유치를 뜨겁게 염원하고 있다. 왜 그런가. 조국이 어려웠던 시절, 눈물을 뿌리며 이 땅을 떠나던 그들을 역시 눈물로 배웅했던 고장이기 때문이다. 지난 2일 인천시청에서 ‘재외동포청 인천유치 시민운동본부’가 출범을 선언했다. 인천사랑운동시민협의회를 비롯, 33개 시민모임이 참여했다. 종교나 정치적 이해까지도 초월해 그야말로 범시민운동으로 뜻을 모았다. 시민운동본부는 공식 출범 이전부터 온라인 서명운동에 들어갔다. 벌써 4천여명의 시민들이 참여했다. 운동본부는 시내 곳곳에서 시민들을 직접 만나 재외동포청 유치를 기원하는 오프라인 서명운동도 펴고 있다. 각급 지역 단체들의 지지 선언도 줄을 잇는다. 회원 21만명의 인천시총연합회, 인천 주요 기관장·기업인 모임인 인화회 등도 가세했다. 인천시의회는 지지 결의안을 채택했다. 인천시민들의 염원을 요약하면 이렇다. 인천은 우리나라 최초 근대 이민의 출발지다. 역사적 정체성, 상징성이다. 인천국제공항과 인천항을 통해 재외동포들이 조국을 찾는 첫 관문이다. 재외동포청 입지로서의 타당성, 효율성이다. 1902년 12월22일, 하와이를 향한 첫 이민선이 인천 제물포항을 출항했다. 이후 106년이 흐른 2008년 6월. 그들이 떠났던 그 월미도에 한국이민사박물관이 우뚝 섰다. 그때 떠났던 이들은 인천을, 꿈에도 그리던 조국의 마지막 모습으로 가슴에 담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미 많은 해외 한인단체들이 신설 재외동포청은 인천에 들어서야 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유럽 한인총연합회와 하와이 한인단체, 우즈베키스탄 고려인협회 등이다. 유럽 한인총연합회는 지난해 인천에 유럽한인문화타운을 조성하는 계획도 내놓았다. 재외동포청 인천 유치 운동은 요즘 흔한 공공기관 끌어가기 수준이 아니다. 생산유발효과니, 고용창출이니 하는 지역이기적 타산과도 다르다.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역사적 정체성과 입지 타당성을 확보하고 있는 인천이다. 인천이 국토의 저 끝자락에 위치해 있다면 손도 들지 않았을 것이다. 철강박물관이 선다면 포항에, 반도체박물관이 선다면 수원 또는 화성인 것이나 마찬가지다. 재외동포청은 인천에, 따로 증명이 필요치 않은 공리(公理)다.
사설(인천)
경기일보
2023-03-07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