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건설업체들이 허우적거리고 있다. 건설시장의 장기침체로 건설물량이 해마다 줄어 고사위기에 처해 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인천시 등 공공기관에서 발주하는 대형공사 수주는 서울 등 외지 업체들이 독식하다시피 하고 있다. 큰 공사는 아예 능력이 달려 언감생심이다. 지난해의 경우 인천지역의 100억원 이상 공공공사 발주 건수는 20건이다. 이 중 외지 업체가 16건을 수주했고 나머지 4건만 인천업체가 수주했을 뿐이다.
대형 공사의 외지 업체 독식이 지역경제에 도움되는 것은 하나도 없다. 대형 공사를 수주한 업체가 그 지역에서 생산하는 자재를 사용하는 것은 물론 건설기술자와 현장 근로자 고용 등에 이르기까지 부정적 영향은 크다. 역내에서 대형 공사가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막대한 건설 관련 자금과 과실이 역외로 유출되는 안타까운 현상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전문건설업체들도 사정은 다르지 않다. 지난해 전문건설업체의 하도급 실적은 2조2천303억원이다. 이 중 인천지역 전문건설업체의 하도급 실적은 30.4%에 불과하고 나머지 70%가 타 지역 전문건설업체가 수주했다. 역내 종합건설사들의 원도급률을 높이는 것은 물론 전문건설업체들 또한 하도급률을 높이는 것이 급선무다.
대형 공공공사 외지업체 독식 끌탕말고
업체 스스로 기술 축척ㆍ내실화에 힘써
역내ㆍ외에서 당당히 수주경쟁 벌여야
이런 상황에서 안전행정부가 지난 1일 지자체 발주 대형 공사의 지역 내 업체와 공동도급을 의무화하는 내용의 ‘지방계약법 시행령’ 개정안을 입법예고 했다. 지금까지는 세계무역기구(WTO)의 정부 조달협정 국제입찰 대상금액인 262억원 미만의 금액에만 지역의무 공동도급제가 적용됐지만 이 제한을 없애기로 했다. 특히 지역 업체의 참여비율을 입찰공고에 명시하도록 의무화함으로써 지역 중견·중소 업체의 수주율이 높아지고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길이 열리게 된 것은 희망적이다.
하지만 이를 마냥 좋아만할 일은 아니다. 곧 시행될 중견·중소 건설업체의 공사 참여 확대를 위한 기술제안입찰 활성화 방안에 대비해야 한다. 기술 축적 등 능력배양이 시급하다. 기술제안서를 만들 인력도 빨리 확보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중견·중소 건설사를 위한 제도가 그림의 떡이 될 수 있고, 오히려 높은 문턱이 될 수 있다.
건설사들은 이제 인천이라는 ‘우물 안 개구리 틀’에서 벗어나야 한다. 역내 업체 간 출혈경쟁으로 서로 발목 잡는 일도 자제해야 할 것이다. 외지 업체의 대형공사 독식을 끌탕만 하고 있을 것이 아니라 업체 스스로 내실을 갖추고 건설기술을 갈고 닦아 경쟁력을 길러야 한다. 더 나아가 타 지역으로도 눈을 돌려 역내·외에서 새로운 기회를 잡을 수 있는 자구적 생존전략이 필요하다.
댓글(0)
댓글운영규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