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교 위기 광주 남한산초 ‘제1호 혁신학교’
현장교사의 자생적 학교개혁 운동 결과물
인사제도·교육행정 등 새로운 전환 필요해
2009년 민선교육감의 당선과 함께 시작한 혁신교육 10년은 대한민국 교육개혁의 새로운 역사를 쓰게 되었다. 특히 경기도 혁신학교는 그간 좌절감에 휩싸여 있던 공교육 혁신에 대한 상징이 되면서 전국적으로 혁신교육이 확산되는 길잡이가 됐다.
그간 시대적·사회적 변화에 부응하기 위한 국가적 차원에서 학교개혁이 관료주의에 의존하는 하향식 교육개혁을 시도해 왔으나 성공적인 학교 개혁을 이끌지 못했다. 이에 반해 혁신학교 정책은 현장교사의 자생적인 학교 개혁 운동을 경기도교육청 단위의 혁신학교 제도로 발전시킴으로써 한국 교육사의 전환점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경기도에서 혁신학교 제도가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은 단지 진보적인 민선교육감 탄생만으로 설명할 수 없을 것이다. 2000년 초부터 시작되었던 작은 학교 살리기 운동과 새로운 학교운동 등 ‘교사중심의 아래로부터의 자생적인 학교개혁 운동’이 참교육 실천 운동으로 10여 년 가까이 이어져 왔기에 혁신학교 제도로 발전될 수 있었다. 이는 폐교 위기의 학교를 살렸던 남한산초등학교와 같은 학교혁신의 성공적인 사례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학교 내부로부터 변화 동력을 형성한 선도적인 학교를 혁신학교로 지정하고 성공적인 모델을 창출하고 확산해 나아갔다. 혁신학교는 무엇보다 관료적이고 보수적인 환경과 개인주의가 강한 교직문화를 민주적이고 역동적인 문화로 바꾸어 내는 것에 주목하게 된다. 개별 교사의 실천과 교실 장학에서 학교 단위로 하는 교사 공동체의 실천 활동으로 바꾸어 냄으로써 여론의 지지와 학교 현장의 혁신동력을 형성할 수 있었다.
이제 혁신교육 또한 전환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와 함께 다양한 교육적 상상과 새로운 도전으로 미래사회에 대비해야 할 시점에 와 있다. 그간 혁신교육이 운동과 제도의 만남을 통한 학교를 단위로 하는 개혁이었다면 ‘혁신교육 3.0’은 미래지향적인 가치를 바탕으로 교육 생태계를 구축하는 일이다. 개별 학교 단위의 접근을 넘어 지역적 교육공동체를 추구해야 한다. 지역의 교육자원을 학교와 공유할 수 있는 마을교육공동체를 만들어야 할 뿐만 아니라 지역 초중고 학교 간 개방과 협력을 통한 학교 간 네트워크를 강화해 나아가야 한다.
더 나아가 미래를 열어갈 ‘제2의 남한산초등학교’와 같은 실험적인 미래 학교가 탄생할 수 있도록 돕는 일이다. 창의적인 학사운영과 학교 다양화를 이룰 수 있도록 강력한 학교 자율화 조치가 이뤄져야 한다. 그간 혁신교육의 성과를 계승하는 한편 미래교육을 촉진하기 위한 인사제도, 교육행정, 교육환경 등 총체적이고 파격적인 행정 혁신을 통해 경기 혁신교육 또한 새로운 전환이 이뤄져야 합니다.
서길원 도교육청 미래교육국장
댓글(0)
댓글운영규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