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자산업 도내 전역 확대하고, 경쟁력 강화 다양한 사업 추진 세계 한국도자 우수성 홍보도... 건강한 도자문화 전문기관 도약
“한국도자재단의 역할을 한국 전역으로 확대하고 도자와 공예문화가 국민 일상에 녹아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한국도자재단이 올해 ‘도자문화로 국민과 소통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전문기관’이라는 비전을 실현하는 데 주력한다. 이를 위해 도자산업을 기존 이천, 여주, 광주 등 경기도 3개 시에서 31개 시·군 전역으로 확대하고, 도자에서 공예 분야로 확장해 도예문화의 가치를 더욱 알리겠다는 목표다.
앞서 지난 2023년 9월 취임해 임기 반환점을 돈 최문환 한국도자재단 대표이사는 “지난해 경기 도자를 포함한 ‘한국 도자’의 위상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다”고 밝혔다. 지난해 프랑스 파리 하계 올림픽에서 K-콘텐츠를 대표하는 문화로 ‘한국도예전’ 전시를 개최했는데 해당 전시가 문화 올림피아드 공식 프로그램으로 채택되면서 한국 도자문화의 우수성을 전세계에 알렸다.
또 경기도자비엔날레를 통해 세계 각국의 도자 예술을 경기도로 모은 데 이어 축제 범위를 경기도 전역으로 확대해 지난 2021년 비엔날레보다 9만명 증가한 30만명의 관람객을 유치했다. 홍콩 파인아트아시아, 파리 메종&오브제 등 해외 유명 페어에 참가해 국내도자산업의 해외시장 판로 개척을 지원하는데도 힘썼다.
이를 바탕으로 올해는 도예인들이 더욱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한 창작 활동을 이어가도록 창작·유통 플랫폼을 확대할 예정이다.
최 대표는 “올해는 ‘경기도자 수출바우처 사업’을 새롭게 추진해 도예업체가 국내외 시장에 보다 쉽게 진출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지원을 확대할 것”이라며 “또 ‘경기도자 스마트 혁신 사업’을 내실있게 추진해 도예업체의 생산·유통 환경을 디지털화하고 경쟁력을 강화하겠다. 이 같은 재단의 사업은 경기도의 ‘이제는 경제의 시간’ 슬로건과도 맞닿아 있다”고 강조했다.
최 대표는 올해 재단의 역점사업으로 ‘경기도 공예주간 사업’을 꼽았다. 오는 10월25일부터 9일간 개최되는 ‘경기도 공예주간’은 경기도 전역, 경기 남부, 경기 북부에서 약 200여명의 공예가가 참여해 공예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재단의 신규 사업이다.
경기도 전역에서는 크고 작은 공방에서 다채로운 공예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경기공예 연대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경기 남부에선 공예인 창작 시연 워크숍과 공예 전문 학술행사 등으로 구성된 ‘경기공예 페스타’가 열린다. 경기 북부에서는 공예 마켓, 공예 전시 등을 펼치는 ‘경기공예 협업 프로그램’을 선보이는데, 재단은 이 사업을 통해 공예문화산업의 전반을 육성하겠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재단은 지역별 도자문화축제를 발굴·육성하는 ‘도자문화축제 육성 지원사업’도 새롭게 추진한다. 도예인협회가 있는 김포, 남양주 등에서 자체적인 도자문화 축제를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량 강화 사업이다. 지역별 특색을 담은 도자문화를 활성화하는 동시에 도민이 도자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해 선순환하는 도자문화 생태계를 조성해나갈 방침이다.
특히 재단은 지난 2019년 국내에서 처음으로 조성한 ‘경기공예창작지원센터’의 기능을 확대해 경기공예산업의 거점 역할을 강화한다. 재단은 센터가 각 지역에서 활동하는 공예가들의 구심점 역할을 하게 해 공예가들을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산업 확장 모델을 구상중이다.
최 대표는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이 추진하던 ‘경기도 공예품대전’ 사업도 올해부터 한국도자재단이 맡아 개최한다”며 “그동안의 성과와 신규 사업들을 통해 도자 문화와 도자 산업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올해는 청렴하고 신명나는 ‘건강한 도자문화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강화할 것”이라며 “남은 재임기간 동안 ESG 경영, 임직원과의 소통 강화, 혁신적인 마케팅, 국정·도정과의 연계 등을 통해 재단 운영의 안정성과 산업 추진력을 강화하겠다. 한국도자재단이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도자·공예 전문기관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온 힘을 쏟겠다”고 말했다.
댓글(0)
댓글운영규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