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 로고
2025.07.01 (화) 메뉴 메뉴
위로가기 버튼

호르무즈 해협 '살얼음판'…정유·항공·해운 산업 복합위기 '빨간불' [한양경제]

이란 의회, 22일 호르무즈 해협 봉쇄 의결
해협 봉쇄시 국제유가 배럴당 130달러 전망
공급망 차질 등으로 해상 운임 상승 가능성
해협 봉쇄할 경우 이란 국내 경제도 타격 

 이 기사는 종합경제매체 한양경제 기사입니다

 

호르무즈 해협. 연합뉴스
호르무즈 해협. 연합뉴스

 

미국의 이란 핵시설 공격과 함께 호르무즈 해협 봉쇄가 현실화되고 있다. 해협 봉쇄시 예상되는 유가 상승 등으로 인해 정유업계와 해운업계의 경영에 빨간불이 켜졌다.

 

22일 이란 의회는 호르무즈 해협 봉쇄를 의결했다. 같은 날 미국의 이란 핵시설 공격에 대한 대응이다. 다만 봉쇄의 최종 결정권은 이란 최고국가안보회의에 있기에 아직 해협 봉쇄가 이뤄진건 아니다.

 

호르무즈 해협은 북쪽의 이란과 남쪽의 오만 및 아랍 에미리트 사이에 있는 해협이다. 전 세계 해상 무역량의 11%와 해상 원유 수출의 34%가 호르무즈 해협을 통과한다. 한국의 경우 호르무즈 해협을 경유해 들어온 원유 수입량은 전체의 68.2%에 달한다.

 

실제로 해당 해협이 봉쇄되면 한국 경제 전반은 심각한 타격이 예상된다. 절반이 넘는 원유를 우회해서 수입해야 하기 때문이다. 한국 소비자물가지수의 에너지의 변동이 전체 물가 상승에 영향을 주는 만큼 원유 가격의 상승은 물가 상승으로 이어지게 된다.

 

강성우 산업연구원 연구원은 “기대심리가 있고 유가가 실제로 배럴달 10달러 오른 상태니 물가 상승에 대한 부분은 피하기 어렵다 본다”고 진단했다.

 

호르무즈 해협을 통한 글로벌 원유/LNG 운송량 및 비중. IM증권
호르무즈 해협을 통한 글로벌 원유/LNG 운송량 및 비중. IM증권

 

■ 해협 봉쇄시 국제유가 최대 130달러 상승 전망

 

국내 정유업계는 호르무즈 해협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해협 봉쇄 파장은 곧 유가 상승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국제유가는 이란의 호르무즈 해협 봉쇄 선언과 함께 3%가 올랐다. 23일 오전 7시 30분 기준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배럴당 76.32달러에 거래가 이뤄졌다. 브렌트유의 경우 배럴당 79.49달러를 기록했다.

 

JP모건은 호르무즈 해협이 봉쇄될 경우 국제유가가 배럴당 120~130달러까지 오를 수 있다고 경고했다. 씨티그룹은 보고서를 통해 호르무즈 해협 봉쇄가 유가 급등으로 이어지고 브렌트유는 배럴당 90달러까지 오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원유 수입의 63%를 중동에 의존하는 한국도 영향을 피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앞서 해양진흥공사는 호르무즈 해협이 봉쇄되면 하루 1,800~2,000만 배럴의 원유 운송이 중단될 수 있다고 예측했다. 국내 정유 비축분도 약 200일분에 불과하기에 사태가 장기화될수록 정유업계의 타격도 커지게 된다.

 

실제 지난 1분기 평균 정제마진은 3.1달러였다. 4월에는 평균 3.66달러로 소폭 올랐고, 5월에는 평균 6.75달러를 기록했다.

 

정제마진은 석유제품 가격에서 원유 가격과 수송비를 뺀 금액이다. 정유사 이익의 핵심 지표로 통상 정제마진 손익분기점은 4~5달러로 알려졌다.

 

정유업계는 올 1분기 정제마진 악화로 실적이 급감했다. 이같은 실적 부진은 2분기까지 계속될 전망이다.

 

SK이노베이션 1분기 석유사업 부문은 영업이익이 363억원으로 전 분기(3061억원)의 10분의 1 수준으로 급감했고, 에스오일은 215억원 영업손실을 보였다.

 

HD현대오일뱅크의 1분기 영업이익도 31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0% 이상 급감했다.

 

5월 들어 정제마진 회복으로 정유사들의 실적 개선이 예상됐지만 이번 사태가 장기화할 경우, 올 3~4분기 실적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있다.

 

원유 실물시장은 통상 3개월에서 6개월간 인도하는 거래로 이뤄진다.

 

특히 이란 최고지도자인 하메네이가 호르무즈 해협 봉쇄를 의결할 경우, 수요 감소에 따른 실적 악화가 불가피하다.

 

정유업계 한 관계자는 "이란 충돌 사태가 장기화 되면 정유업계 침체 우려가 또 나올 수 밖에 없다"면서 "정제마진은 경기 상황에 가장 직접적으로 영향을 준다"고 밝혔다.

 

이어 "유가 상승이 정유업계에 긍정적이거나 우호적으로 작용한다는 보장도 없다"며 "오히려 지금 석유제품 수요 감소가 더 커질 수 있어 우려스럽다"고 강조했다.

 

정유업계 또 다른 관계자는 호르무즈 해협 봉쇄가 최악의 변수라고 지목한다.

 

중국컨테이너운임지수(CCFI) 추이. 한국관세물류협회
중국컨테이너운임지수(CCFI) 추이. 한국관세물류협회

 

■ 해협 봉쇄시 공급망 차질로 해상 운임 상승

 

상황을 주시하는 건 국내 해운업계도 마찬가지다. 해협이 봉쇄될 경우 해상 운임도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원자재를 실어 나르는 배들의 운임 변동을 보여주는 지표인 발틱운임지수(BDI)는 이스라엘이 이란 공습을 시작한 13일에 1,968을 기록했다. 세계 컨테이너 시황을 반영한 지수인 중국컨테이너운임지수(CCFI)는 13일 1,243에서 지속 상승해 20일에는 1,342를 기록했다.

 

해운사들은 호르무즈 해협 봉쇄 위기로 인해 셈법이 복잡해진 상황이다. 해협이 봉쇄되면 공급망 차질로 인해 운임이 올라 단기적인 이익을 얻을 수 있다. 하지만 항로 우회로 인해 운항 거리도 증가하기에 연료비와 운항 시간도 늘어나게 된다.

 

이에 더해 유가 상승으로 인해 물가가 상승할 경우 해운사들의 영업이익률은 떨어지게 된다. 연료비와 운영비 등이 올라 비용 상승에 직면하기 때문이다.

 

해운업계 관계자는 “아직 공식적으로 내놓을 수 있는 입장은 없지만 중동 상황은 지속해서 예의주시하고 있다”라고 답했다.

 

다만 이란이 실제로 호르무즈 해협을 봉쇄하지 않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해협 봉쇄시 이란도 타격을 받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란은 2010년대 서방의 제재 당시 해협 봉쇄를 경고했지만 실제 행동으로 옮기지는 않았다.

 

강성우 연구원은 “호르무즈 해협을 차단할 경우 이란 국내에도 영향이 가는 부분이 있어 쉽게 닫지는 않을 것”이라며 “자국 내 수출과 교역도 차단되기 때문에 피해를 감수하면서까지 하기는 어려울 거라 본다”고 설명했다.

 

해운업계 관계자는 “단기적으로 보험료 인상 등이 예상되고, 실제 해협이 봉쇄될 경우, 선박 정체 등 원활환 운항이 어려운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 항공기업으로 불똥 튀나?…유류비 부담 가중

 

항공업계도 비상이 걸렸다. 유류비는 통상 항공사 영업비용의 25∼30%를 차지한다. 1분기 보고서 기준, 대한항공은 연간 약 3050만 배럴의 항공유를 사용한다.

 

국제유가가 배럴당 1달러 오를 때마다 연간 3050만 달러(약 443억6720억원)의 추가 비용이 발생한다. JP모건은 최근 보고서에서 호르무즈 해협이 봉쇄될 경우 국제유가가 배럴당 120~130달러에 달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항공사별로 유류 할증료와 유류 헤지, 비축유 등으로 유가 급등 상황에 대비하고 있다고는 하지만 사태가 장기화하면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다.

 

중동의 긴장감이 장기화할 경우 유류할증료가 오르는 등 소비자 부담도 증가할 전망이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유가 변동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통상 유류할증료는 유가 변동에 한 달 정도 시차를 두고 반영되기 때문에 현재처럼 상승세가 이어질 경우 7~8월쯤 인상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댓글(0)

댓글운영규칙

-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 대상을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법률에 의해 제해될 수 있습니다. 공공기기에서는 사용 후 로그아웃 해주세요.

0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