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을 전기신호로 바꾸어 유선이나 무선으로 보내어 다시 말로 재생하는 것이 전화다. 1876년에 발명돼 미국의 뉴욕∼보스턴간에 처음 개설되었다. 국내엔 1882년 3월 전화가 들어와 실험통화를 했다는 설이 있으나 구체적인 것은 알려지지 않고 있다.
또 1893년 3월 궁내부에서 전화가설을 추진하다가 동학혁명에 이어 청일전쟁이 일어나 중단됐다.
최초의 전화는 1896년 서울∼인천간에 개통됐다. 이 전화로 김구가 명성황후 시해에 격분, 일본군 중위를 살해해 사형을 기다리고 있는 인천 감옥에 고종이 전화로 형집행을 면제케 했다는 일화가 있다. 초기엔 전화를 어화통(語話筒), 전어통(傳語筒)이라고 했다. 체신기념관에 소장된 1905년의 전화번호부인 ‘각전화소청인표’에는 서울 50명, 인천 28명, 수원·시흥 각 1명으로 나타났다.
1950년대까지 자석식이었다가 공전식으로 발전한 것은 1960년대였다. 전화통화에 교환원이 필요없는 지금의 다이얼로 바뀐 것은 1960년대 후반이다. 그러나 전화놓기가 마치 하늘의 별따기처럼 꽤나 어려웠다. 전화매매에 요즘 돈으로 치면 수백만원상당의 권리금이 붙기까지 했다.
이토록 전화놓기가 어려웠던게 1980년대 들어 흔해지면서 전국 어디든 전화없는 집이 거의 없게 됐다. 전화보급이 1천만대를 돌파한 것이 7∼8년전으로 기억한다.
90년대 중반부터 이동통신이 활성화하면서 전화사정은 또 한번의 혁명을 가져왔다. 웬만한 사람치고 휴대전화를 지니지 않은 사람이 별로 없다. 이동통신 가입자가 급속 확산돼 1천만명을 돌파했다는 소식이 얼마전에 있었다. 이제는 휴대전화가 아무데서나 마구 터져 신종공해로 등장할 지경이다.
자동차는 많아도 자동차문화가 없는 것처럼, 전화는 많아도 전화문화가 없는 것이 안타깝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