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력 9월9일은 중구(重九), 또는 중양절(重陽節)이라고 전해온다. 이같은 명칭은 九가 양수인데 이것은 겹쳤다는 것을 이른 것이다. 속설에는 제비가 음력 3월3일(삼짇날) 왔다가 9월9일(중양절)에 강남으로 간다고 한다.
중국 고대사회에서는 9를 양수의 극이라 하여 이것이 겹친 9월9일을 큰 명절로 삼아 왔다. 그리고 이날 높은 곳에 올라가서 먼 곳을 바라보며 고향을 생각하였다고 한다.
음력 9월은 추수의 계절, 국화의 계절, 단풍의 계절이다. 옛 사람들이 이 좋은 시기를 그냥 보냈을 리 없다. 중양절은 중국에서 큰 명절로 여겼지만 우리나라에서도 절기가 늦어 추석에 햇곡식을 거두지 못하면 추석차례를 중양절에 지내는 풍습이 있었고 성묘도 이날 하였다. 또 이 날은 국화구경을 즐겼다하여 상국일(賞菊日)이라고도 불렀다.
우리나라에서는 신라시대부터 중양절을 명절로 정하여 잔치를 베풀어 임금과 신하가 더불어 즐거움을 같이 하였다.
조선시대에는 삼짇날과 중양절 두 차례에 걸쳐 노인잔치를 크게 베풀어 경노사상을 드높이는 동시에 조상에게도 차례를 올렸다. 지방에 따라서는 이날 성묘하고 시제를 지내기도 한다.
또 문인들은 단풍 든 산과 계곡을 찾아 음식과 술을 즐기며 시를 짓고 풍월을 읊는 관습이 있었는데 이 단풍놀이는 서민층에까지 번져 봄철 화전놀이처럼 단풍놀이를 즐기기도 하였다. 오늘날 즐기는 단풍놀이와 학생들의 가을 소풍은 이같은 옛 조상들의 풍습에서 유래되었다고 할수 있다.
이 세상은 어려운 일도 많고 복잡한 사건도 많지만 아무튼 계절은 바야흐로 단풍의 계절이 되었다.
중양절을 맞아 일상사 잠시 접어 두고 단풍 드는 자연의 섭리에 잠겨봄직도 하다./淸河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