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가 내년 지역별 환경문제 해결과 환경산업 육성을 위해 ‘지역환경기술개발센터’를 경기·인천지역중 1곳에 건립하기로 함에 따라 경기도와 인천시의 유치전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19일 도에 따르면 지역환경문제에 대한 자체해결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도는 그동안 독자적으로 가칭 ‘경기환경기술개발센터’를 추진해 왔다.
그러나 환경부가 지난 13일 내년에 경기·인천지역중 1곳에 지역환경기술개발센터를 설치하고 2001년에 추가로 설치하기로 하자 인천시가 이에 대한 유치에 나서면서 양 자치단체간 유치전이 전개되고 있다.
도는 독자적인 기술개발센터를 건립하기 보다는 정부의 지원을 받아 설립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판단, 이달말까지 주관기관 후보대학 5개소를 추전하고 내달중에는 이들 대학과 민간기업체·연구소 등으로 컨소시엄을 구성해 체계적인 유치에 나설 계획이다.
또 12월에는 환경부의 일정에 따라 기술개발센터 신청을 낼 예정이다.
도는 특히 도내 15개 환경관련 연구소가 소재하고 있고 28개 대학에 환경학과가 설치돼 있으며 보건환경연구원 등 2개의 도 부설 연구기관이 있는 등 연구기반이 확보돼 있다는 점을 내세울 방침이다.
현재 도내에는 팔당호 등의 오염, 시화산업단지의 악취, 도시내 대기오염 및 쓰레기 소각에 따른 다이옥신 발생 등 특정한 환경문제로 지속적인 민원이 발생, 지역환경기술개발센터 설립이 요청돼 왔다.
도는 지역환경기술개발센터가 유치되면 내년부터 지역환경문제해결 및 기술개발업무를 정상적으로 추진, 도내 환경문제의 집중연구와 지역특화환경기술개발의 거점 역할을 수행할 계획이다.
정병일 도 환경국장은 “환경기술개발센터의 운영이 본격화되면 지역의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기술의 전파와 보급으로 지역이기주의 현상의 해소는 물론 지역 특수환경산업 육성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유재명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