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의료원 민간위탁 강력 반발

경기도가 수원의료원을 내년부터 민간위탁키로 한 결정에 대해 의료원 노조및 운영자들이 의료원이 민간위탁시 의료원의 공공의료목적에 위배된다며 강력 반발하고 있다.

경기도는 지난해 이천의료원을 고려대병원 민간위탁에 이어 만성적자에 허덕이던 수원의료원도 내년부터 민간위탁한다고 발표하고 도내 7백병석이상 대형병원에 제안서를 배포, 의료원 위탁경영자를 모집하고 있다.

이에대해 의료원측은 지난 18일 전직원 간담회를 개최해 노조와 운영자으로 구성한 민간위탁 경영 저지 투쟁본부(본부장 문호진)을 발족, 전국보건의료 노조와 연대해 투쟁해 나갈 것을 천명하고 서명운동에 돌입했다.

투쟁본부측은 의료원 민간위탁시 행려자, 생활보호대상자 등 일반병원에서 진료를 꺼려하는 환자치료를 등한시할 우려가 높아 의료원 설립목적인 공공진료에 정면으로 위배되는 것은 물론 의료비 상승으로 저소득층들이 의료부담이 가중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 도가 지난 94년 인근 지역이 논·밭으로 둘러쌓여 있어 오지였던 수원시 장안구 정자동에 의료원을 이전해 만성적자에 시달리게 해놓고 이제 천천지구, 정자지구개발로 주거지가 들어서 흑자로 돌아설 시기에 민간위탁하고자 하는 것은 구조조정실적을 높이기 위한 탁상행정이라고 비난하고 있다.

한편 경기도는 지난해 감사원 간사 결과 33여억원의 적자에 허덕이고 있는 수원의료원을 민간위탁하라는 지적과 민간위탁으로 흑자에 돌입한 이천의료원 사례를 들어 수원의료원을 민간위탁키로 했다며 민간위탁이 되더라도 행려자및 저소득층의 공공진료는 여전히 승계돼 공공진료에 전혀 이상이 없다고 밝혔다./김창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