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마다 실시되고 있는 항공기 소음측정자료가 공개되지않고 소음영향도도 선진국에 비해 높게 책정돼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3일 경기도와 부천시 오정구, 광명시 광명동, 김포시 김포읍 주민들에 따르면 항공기소음은 건설교통부산하 지방항공청에서 5년마다 측정하고 있으나 소음영향도가 선진국에 비해 높게 책정되어 있고 측정자료도 공개치않아 신뢰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지역주민들은 최근 국내선은 물론 국제선의 항공기 노선이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운항횟수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 5년마다 소음도를 측정하는 것은 현실을 무시하는 처사라고 지적하고 있다.
특히 주민들은 지난 93년에 이어 98년도에 소음도를 측정하고도 건설교통부가 영종도 국제공항 개설시 재측정해 고시할 것이라는 이유로 측정결과를 발표하지 않는 것은 93년에 비해 급속히 악화된 소음공해에 대한 주민반발을 무마하려는 의도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들은 또 소음피해지역을 지정하는 기준도 1종구역의 경우 선진국 수준인 90WECPNL보다 높은 95WECPNL로 책정되어 있어 주민들의 피해를 가중시키고 있다며 개선을 요구하고 있다.
실제로 김포공항의 항공기 운항횟수는 95년 544회에서 96년 593회, 97년 650회로 증가하다 지난해부터는 올해까지는 IMF의 영향으로 운항횟수가 575회와 567회로 다소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다.
한편 도내에서 소음피해지역으로 지정된 곳은 부천시 오정구 고강동 11번지일대(1 종)를 비롯 고강동 229번지, 김포시 고촌면 1127번지일대(2종), 부천시 고강동 381번지와 원종동 11번지일대, 광명시 광명동 4번지 및 철산동 9번지 일대, 김포시 김포읍 36번지 및 고촌면 117번지 일대 등이다./정일형기자 ihjung@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