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한국투신과 대한투신에 대한 일괄적인 자본금 감자(減資) 계획이 알려지자 우리사주 및 일반사주 등이 부실의 책임을 소액주주에게까지 묻는 것은 부당하다며 반발하고 있다.
5일 한투·대투 등에 따르면 정부가 한국·대한투신의 자본금(각각 2천억원)을 최저 100억원 수준(20분의 1)으로 감자한 뒤 한투 2조원, 대투 1조원의 공적자금을 투입할 방침인 가운데 금융기관과 소액주주 구분없이 일괄 감자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우리사주 및 일반주주 등 소액주주들은 이에 대해 그동안 주주권행사에서 철저히 소외당해 온 소액주주에게 부실의 책임을 물어 동일하게 감자를 단행하는 것은 부당하다며 호소문을 배포하고 서명운동을 벌이는 등 크게 반발하고 있다.
특히 우리사주를 보유한 임직원 등은 상장회사와 달리 재테크의 개념이 아닌 회사살리기 차원에서 우리사주를 보유하게 된 만큼 소액주주를 보호하는 방안이 마련되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김모씨(34·안양)의 경우“지난해 10월 중간정산된 퇴직금으로 우리사주 8천주를 샀다”며“애사심에서 우리사주를 보유한 것이 퇴직금마저 날리게 되는 결과를 초래할까봐 큰 걱정”이라며 하소연했다.
현행 금융구조개선에 관한 법률에는 부실에 책임이 있는 특정주주에 대해서는 소유주식의 일부나 전부를 유상 또는 무상으로 병합해 자본금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돼 있다.
한편 양 투신사의 소액주주 구성은 한국투신 20.77%(우리사주 12%, 일반주주 8.76%), 대한투신 22.44%(우리사주 11.44%, 일반주주 11%) 등이다.
/강경묵기자 kmkang@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