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이후 남한의 소득규모가 대폭 감소하면서 지난해 남·북한간 국민총소득의 격차가 통계를 낸 지난 90년 이후 처음으로 줄어들었다.
특히 남·북한 모두 최근 2∼3년간 소득수준이 급격하게 떨어져 각각 최고치인 96년과 95년에 비해 61.1%, 56.5% 수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7일 통계청 경기통계사무소가 발표한 ‘남북한 경제사회상 비교’에 따르면 지난해 남한의 국민총소득은 지난 96년(5천183억달러) 이후 대폭 감소, 지난해 3천168억달러였으며 북한의 국민총소득도 95년 223억달러였던 것이 126억달러로 크게 감소했다. <표 참조> 표>
또 1인당 국민총소득 역시 남한이 96년 1만1천380달러, 97년 1만307달러, 98년 6천823달러로 감소했으며 북한도 95년 1천34달러, 97년 811달러, 98년 573달러로 줄어 지난해 남·북한 격차는 11.9배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와함께 국민총소득 대비 무역총액의 비율인 무역의존도는 남한이 97년 59.2%에서 지난해 71.2%로 크게 상승한 반면 북한은 12.3%에서 11.4%로 낮아졌다.
이밖에 지난해 기준 남한의 쌀 생산량은 북한의 3.5배, 자동차생산능력은 124.8배, 조선능력 40.4배, 원유도입량 221.7배, 전력발전량 12.7배, 무역총액 156.7배 등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석탄 생산량은 북한(1만8천600M/T)이 남한보다 4.3배, 철광석 생산량도 북한(289M/T)이 남한에 비해 5.9배가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금강산 관광객을 제외한 남한주민의 북한방문도 크게 늘어 신청자 기준 97년 1천194명에서 지난해 3천980명으로, 실제 북한을 다녀온 사람도 97년 1천15명에서 98년 3천317명으로 증가했다./강경묵기자 kmkang@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