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들어 국제 원유값이 급등세를 보이면서 90년 걸프전 이후 최고치를 기록, 막판 무역수지 흑자목표 관리에 비상이 걸리는 등 국내 산업계에도 심각한 영향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11일 산자부에 따르면 두바이산원유 값은 9일 국제 현물시장에서 배럴당 23.21달러로 걸프전 이후 최고치를 기록한데 이어 10일에도 23.58달러까지 올랐으며 10일 국제기준유인 북해산 브렌트유와 서부텍사스유(WTI)도 1주일전에 비해 2달러 정도 오른 배럴당 24.62달러, 24.48달러에 각각 거래됐다.
한국 수입원유의 70%를 차지하고 있는 두바이산 원유는 올들어 지난 9월22일 석유수출국기구(OPEC) 총회 직후인 같은달 24일 배럴당 23.01달러까지 올랐었으며 다시 하락했다가 11월8일부터 갑자기 오르기 시작, 3일만에 배럴당 2달러 가까이 뛰었다.
국제 원유값의 급상승세는 OPEC의 감산시한 연장 잠정 발표 이후 멕시코도 감산에 동참할 것이라는 발표가 나온데다 겨울철을 앞두고 최대 소비국인 미국의 원유재고가 지난해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이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한편 원유 도입가격이 배럴당 1달러 오르면 연간 기준으로 수입은 8억7천만달러 늘고 수출은 1억7천만달러가 줄어 흑자폭이 10억4천만달러 줄어들게 되며 국내 평균 유가도 ℓ당 14원정도 상승요인이 작용한다./박승돈기자 sdpark@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