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달청이 대형공사의 입찰심사에서 Y2K인증 업체에 대해 가산점을 부여하기로 한 방침을 철회한 지난 7월 이후 Y2K인증을 신청한 업체가 단 한건도 없는 것으로 나타나 PQ(입찰자격사전심사)시 가점을 받기 위한 용도에 불과한 것인가 하는 자성의 지적이 일고 있다.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와 한국능률협회 및 한국정보통신기술사협회 등 국내 3개 Y2K 인증기관에 따르면 10월말 현재 Y2K 인증을 획득한 건설업체는 모두 45개사로 집계됐는데 이 가운데 42개 업체가 조달청이 인증업체에 대해 PQ시 가산점을 주기로 한 지난 3월부터 7월까지 집중적으로 인증을 획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기간중에는 매월 기관마다 인증신청기업이 5∼6개 업체씩 몰리고 건설업체로 부터 Y2K인증 관련문의도 100여건이 넘게 들어오는 등 건설업계의 인증획득 열기가 높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조달청이 방침을 철회한 7월 이후부터는 이전에 신청한 3개 업체에 대한 인증획득만 있었을 뿐 인증신청을 한 업체는 단 1개사도 없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대해 인증기관의 한 관계자는 “Y2K인증은 PQ가점 이외에도 공사보험에서 보험요율을 산정할 때나 금융기관으로 부터 여신심사를 받을때도 가점을 주도록 하는 등 혜택이 많았음에도 불구, 조달청의 가점방침 철회와 함께 마치 썰물처럼 인증열기가 식었다”고 지적하고 “결국 인증획득은 PQ가산점 용도에 불과했다는 의혹을 살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와관련 건설업계의 한 관계자는 “혜택여부를 떠나서 고객에 대한 서비스차원에서라도 Y2K문제를 해결했다는 객관적인 입증이 절실하다”고 밝혔다.
/표명구기자 mgpyo @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