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곽순환고속도로 개통 달라지는 생활상

광고속망 고속도로가 개통된다.

지난 95년 착공해 오는 26일 개통되는 서울 외곽순환 고속도로중 산본∼일산간 40.6km구간.

남양주시 퇴계원에서 시작된 이 고속도로(총연장 130km)는 일산∼퇴계원간 36.3km구간만 남기고 2/3구간이 완전 개통된 것.

퇴계원, 구리시, 하남시 ,성남시, 의왕시, 안양시, 군포시, 인천시, 김포시, 일산시가 왕복 8차선의 광고속도로 하나로 연결됐다.

이로인해 서울시내로 이어지는 교통난이 획기적으로 해소될뿐아니라 경기 북부지역과 남부지역이 하나로 연결되는 효가가 기대되고 있다.

이 고속도로는 중부, 경부, 서해안, 서울∼안산, 제2경인, 경인고속도와 직접 연결된 것은 물론 부분적으로 단절돼 충분한 기능을 발휘하지 못했던 퇴계원∼판교∼산본(50.2km), 장수∼서운(8km), 김포대교(3.5km)구간을 모두 연결, 경기 동·서·남·북지역의 교통 흐름이 논스톱으로 이뤄진다.

또 그동안 65분이 소요된 안양(산본)에서 일산까지의 통행시간이 이로인해 25분으로 40분 단축돼 물류비가 연간 2천5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수도권 교통량의 평균 주행속도는 기존 시간당 32km에서 시간당 5km가 증가된 37km로 증가될 것으로 기대되고, 이 도로가 수도권 교통량의 14.9%를 분담하게 된다.

이 구간의 특성은 수리, 수암, 소래 등 3개 터널시공이 산림훼손을 최소화하고 환경보호를 위해 당초 개착시에서 터널공법으로 변경해 시공했다.

길이 446m인 소래터널은 국내 최초로 터널 중앙기둥을 세우는 2-ARCH 공법을 사용해 터널의 안정성 증대와 단면을 최소화했고, 수리터널도 국내 편도 4차선 최장 1.86km로 자연 훼손을 최소화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와함께 도심지구간은 소음방지를 위해 방음벽을 설치해 소음피해를 최소화했으며 비상주차 여유공간인 길어깨도 폭을 3m나 확보해 교통안전을 극대화했다.

한편 한국도로공사는 미개통 구간인 일산∼퇴계원간 구간은 현재 실시설계를 완료했으며 오는 2011년 서울 외곽 순환고속도로가 완전히 개통되고, 현재 왕복 4차서선인 퇴계원∼판교간 도로도 오는 2002년에 완공된다고 밝혔다./김창우기자 cwkim@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