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작가’들의 걸작

임병호 논설위원 bhlim@ekgib.com
기자페이지

수원에 본부를 둔 치매미술치료협회와 영실버아트센터가 마련한 ‘나의 사랑 나의 가족展’이 어제 끝났다. 서울 인사동에 있는 부남(扶南)미술관 대전시실에서 열린 ‘나의 사랑 나의 가족전’은 끝날에도 관람객들이 적지 않았다.

부남미술관을 찾은 사람들은 노재순 한국미술협회 이사장 노재순, 류삼렬·강상중·서해창·선희규·장인희·이태희 화백 등 34명의 한국화단 중견들 작품을 둘러 본 뒤 다른 벽면에 걸린 ‘어린이들의 그림’을 유심히 관람했다.

‘설날’ ‘가을 들판의 허수아비’ ‘가을 운동회’ ‘동지팥죽’ ‘호박넝쿨’ ‘진달래꽃’ ‘팽이치기’ ‘연날리기’ ‘정월대보름’ ‘오월 단오절’ ‘빈대떡’ ‘단풍놀이’ 등 화제(畵題)들도 각양각색이었다. ‘사람은 늙으면 어린 아이가 된다’고 하였다. ‘어린이들의 그림’은 실은 치매에 걸린 노인들이 그린 작품들이었다. 70대는 보통이고 80대, 90대의 노인들이 그린 작품은 사람들을 흐믓하게 행복하게 만들었다.

화가들로 구성된 치매미술치료협회 회원들의 지도를 받고 있는 이들 노인들의 그림을 신현옥 회장은 ‘추억의 간이역’이라고 이름 지었다. 추억의 간이역? 과연 그렇다. 치매미술치료협회 회원들은 그림 그리는 치매노인들을 ‘노인 작가’라고 존칭했다.

‘치매미술치료’는 인지기능이 떨어진 노인에게 미술을 통해 현재 또는 기억을 되살리게 하는 ‘영혼의 예술’이다.

“동그라미 하나를 그리는 데 며칠이 걸린 어르신도 계시지만 도화지와 크레파스만 주면 신통하게도 과거를 그림으로 표현합니다. 버드나무 아래서 남녀가 고개 숙이고 있는 그림은 ‘첫사랑’이고, 젊은 시절 군인이었던 어르신은 하늘을 날아가는 기러기들을 그립니다”라고 했다. ‘봉숭와꼿’ ‘오욀 단워 근녜탄는 광경이요’라고 그림설명을 써 놓는 노인들의 작품도 보였다.

‘나의 사랑 나의 가족전’은 제목 그대로 더불어 사는 삶을 위해 봉사하는 치매미술치료협회 봉사 활동의 한 과정이다. 한국미술협회·영실버여류작가회·촛불봉사단연합회·평화의 모후원·동서문화교육원·현우도회의 후원도 큰몫을 했지만, 14일간 전시회를 무료사용토록 하고 도록까지 제작해준 부남미술관의 협조가 특히 컸다. 봄날처럼 마음이 따뜻해지는 훈훈한 이야기다./ 임병호 논설위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