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적인 겨울이 시작되면서 유통업체를 비롯 자동차용품매장에는 자동차 월동용품을 준비하려는 오너드라이버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올들어 경기회복세에 힘입어 RV를 중심으로 신차 시장의 매출 신장세가 지난해에 비해 30∼40%정도 늘어난 가운데 겨울을 처음 맞는 이들 차량의 월동용품 구입도 만만치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겨울용품시장은 여름철만큼이나 다양한 제품이 선보이지는 않으나 특정 아이템의 수요가 워낙 커 경기회복세에 발맞춰 매출신장세도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기존 업체들은 대량판매의 물고를 트기 위해 영업활동을 강화하는 한편 신규 참여 업체는 틈새시장을 파고 들면서 신규시장 확보에 열을 올리고 있다.
겨울철 차량운전자들이 갖추면 편리한 용품에 대해 살펴본다.
▲부동액
겨울이 오기전에 가장 먼저 점검해야할 것은 부동액이다.
부동액을 넣지 않은 상태에서 갑자기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면 라디에이터내의 냉각수 뿐만 아니라 엔진 본체내의 냉각수도 얼게 돼 심할 경우 엔진본체에 금이 가는 등 심각한 손상을 입게 되므로 반드시 손을 봐야 한다.
1.5ℓ의 시중가는 1만1천원이다.
▲스노우·스프레이체인
스노우체인은 재질에 따라 금속으로 만든 사슬형과 고무 및 우레탄 등으로 만든 비금속류로 나뉜다.
폐타이어와 우레탄 등이 많이 쓰이는 비금속류 체인은 상대적으로 값이 비싸나 진동, 소음이 적고 타이어를 손상시키지 않는다는 장점 때문에 빠르게 보급되고 있다.
금속성중에서도 작은 롤러를 이어 만든 케이블형 제품은 고무제품보다 내구성이 강하면서도 진동, 소음이 덜해 소비자들호부터 큰 인기를 끌고 있다.
가격은 1만9천900∼4만4천원까지 다양하다.
또 스프레이체인은 스노우 타이어나 스노우체인 없이 눈길이나 빙판길을 운전할 때 타이어에 뿌려주면 2∼3시간여동안 미끄럼을 방지해 준다.
제부착에 어려움을 겪는 여성 또는 초보운전들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시중가는 80㎖가 8천원이다.
▲원격시동기
원격시동기는 겨울철에 가장 쓰임새가 크다.
추운 겨울 아침 얼어붙은 차량을 녹이기 위해 몇분이나마 차안에서 웅크리고 있기보다 원격시동기를 이용하면 편리하다.
구입가격은 6만∼20만원까지 다양하다.
▲양털 및 겨울철 차량시트커버
한 겨울을 포근하게 지낼 수 있는 필수품으로 보온효과가 뛰어날 뿐 아니라 실내분위기를 아늑하게 바꾸는데도 좋다.
일반적으로 재질에 따라 1만3천∼6만6천원까지 있다.
▲김서림·성에방지제
실내외 온도차가 큰 겨울철엔 앞유리의 김서림·성에로 시야확보에 상당한 불편이 있다.
김서림방지제는 180㎖가 3천원이며 성에방지제는 250㎖가 2천500원이다.
▲정전기방지제 및 기타
겨울철에는 날씨가 건조해 쉽게 정전기가 일어나 정전기 방지용 열쇠고리에 자동차키를 달아두면 자동차문을 열거나 시동을 걸때, 핸들을 잡을때 정전기가 일어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4천∼2만4천원에 이르기까지 종류가 다양하다.
겨울철 워셔액은 전면유리를 깨끗하게 닦는 기능외에 결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워셔액은 겨울철용을 별도로 사용해야한다.
1.5ℓ가 850∼2천원이다./박승돈기자 sdpark@kgib.co.kr
◇겨울철 차량 점검요령
기온이 떨어지고 차량전기소모가 많은 겨울철에는 자동차관리에 소홀하면 성능이 나빠지고 수명이 단축될 위험이 높다.
이에 따라 혹한이 오기전에 카센터 등에서 부동액, 엔진오일, 배터리 등을 점검해야한다.
자동차 겨울정비의 핵심포인트는 냉각수다.
부동액을 넣지않고 운전하다 혹한이 닥치면 엔진내의 물이 얼면서 실린더 벽에 균열이 생길 수 있다.
이에 따라 2년마다 부동액을 갈아주고 부동액비중이 낮으면 이를 보충해주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물과 부동액의 비율은 60:40 정도가 바람직하나 50:50도 무난하다.
배터리 점검도 필수적으로 겨울에는 전조등, 히터, 열선유리의 작동시간이 길어져 배터리 사용량이 늘어난다.
따라서 2∼3년전에 배터리를 바꿨으면 카센터 등에 들러 전해액이 충분한지 확인해야 한다.
또 겨울철 밤사이에 엔진오일이 굳어져 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시동을 건뒤 즉시 급가속을 하는 운전은 위험하다.
히터에서 더운바람이 나오지 않을 때는 휴즈박스내에 히터휴즈를 점검해야하며 와이퍼가 얼어있을 경우 이를 무리하게 작동되면 와이퍼 모터가 고장날 가능성이 높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