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3일 3당3역회의 첫 회의를 열고 선거법협상에 본격 착수, 선거구제에 대한 협상을 위해 3당 원내총무로 구성된 소위를 가동키로 하는 등 회의진행 방법에 관한 6개항에 합의했다.
여야는 그러나 핵심 쟁점인 선거구제에 관련, 각각 ‘중선거구제+정당명부제’와 ‘소선거구제+현 전국구제도’유지 등으로 엇갈려 더 이상의 진전은 이루지 못했다.
국회 귀빈식당에서 열린 이날 회의에서 국민회의 박상천 총무는 ‘중선거구제+8개 권역별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와 1인2투표제 외에 ‘지역구 후보와 비례대표후보 이중등록 허용’ 등을 내용으로 한 공동여당안을 제시했다.
이에 대해 한나라당 이부영 총무는 현행 소선거구제와 전국구 비례대표제를 그대로 유지할 것을 주장해 여야의 입장차를 드러냈다.
그러나 여당안 중 ‘후보 이중등록’안을 야당이 수용할 경우, 자민련 박태준 총재를 비롯해 공동여당내 중선거구제론자들의 소선거구제 반대입장이 완화될 것으로 예상돼 이 안이 선거법 협상의 관건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여야는 이러한 양측안을 토대로 3당 원내총무로 구성된 소위에서 선거구제 협상을 집중 절충하되, 회의 참석자들끼리 다양하게 수시·교차접촉도 병행하고 최종합의는 3당 3역회의에서 결정키로 했다.
한편 국민회의 박 총무가 “3역회의 협상을 2∼3일내에 끝내야 한다”고 말해 빠르면 내주초 3역회의 협상 성패와 방향이 드러날 것으로 전망이다.
/이민봉기자 mblee@kgib.co.kr 이재규기자 jklee@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