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부채비율이 높은 중소기업은 정부의 주요 정책자금을 지원받지 못하게 된다.
중소기업청은 5일 중소기업의 재무 안정성과 수익성 개선을 위해 내년부터 ‘중소기업 재무개선정책’을 시행, 부채비율이 업종 평균의 2배가 넘는 중소기업은 구조개선자금이나 경영안정자금 등 주요 정책자금 지원대상에서 제외된다고 밝혔다.
중기청은 그러나 시행초기의 경영혼란을 막기위해 부채비율이 높은 업종의 경우 전업종 평균 부채비율 336.4%의 3배인 1천10%를, 부채비율이 낮은 업종은 전업종 평균 부채비율 336.4%를 각각 적용할 방침이다.
업종 부채비율이 1천523%로 높은 가구제조업의 경우 1천10%가 적용되고 부채비율이 95.3%로 낮은 석유정제품 제조업은 336.4%가 적용된다.
또 업종 부채비율이 201%인 가방제조업의 경우 2배인 404%가 적용된다.
그러나 벤처기업, 창업후 3년이내 기업, 연간 매출액 중 수출비중이 25% 이상을 차지하는 중소기업에 대해서는 이 정책을 적용하지 않을 방침이다.
이 정책이 시행될 경우 기존 정책자금을 지원받던 중소기업 가운데 약 10%의 기업이 지원대상에서 제외될 것으로 예상된다.
중기청의 한 관계자는 “자금조달 여건 및 시행효과 등을 고려해 앞으로 지원제한 부채비율을 더 낮춰 중소기업의 재무 안전성과 수익성 개선을 유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이관식기자 kslee@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