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지역 특기·적성교육 헛구호

사교육비 절감과 학생들의 다양한 능력을 길러주기 위해 실시되고 있는 특기·적성교육이 도심지역에서는 다양하게 운영되지만 정작 필요한 농촌에선 헛구호에 그치고 있다.

5일 경기도교육청과 농촌지역 학교에 따르면 외부강사를 도입해 저렴한 가격으로 학생들은 지도하는 특기·적성교육이 도심지역은 학교마다 30여개 과목에 걸쳐 다양하게 실시하지만 농촌지역은 아예 실시하지 않거나 1∼2개 과목만 실시되고 있다.

또 겨울방학을 앞두고 도심지역 학교들은 방학기간에도 다양한 특기·적성교육을 실시하지만 농촌지역은 수강학생 부족에 따른 강사들의 기피 등으로 방학기간은 실시하지 않을 예정이다.

연천군 상리초교는 6학급으로 교육청의 수강료 지원을 받아 학생들에게 1만원의 수강료만 받고 컴퓨터 1개 과목에 대해 특기·적성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예·체능 등의 과목은 엄두도 내지 못하고 있다.

또 파주 탄현초교도 컴퓨터 1과목을 실시하지만 방학중에는 실시하기 어려운 실정이며, 여주 문장초도 컴퓨터만 실시해 학생들이 일반버스나 학원버스를 이용해 원거리 학원에서 예·체능 교습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남양주시 수동면 가양초교는 6학급의 소규모학교로 컴퓨터와 영어 한문 등 3개 과목에 대해 수강료를 받지 않고 교사들이 직접 방과에 실시하지만 방학중에는 강사와 난방비 문제 등으로 실시하지 못하는 등 대부분의 소규모 농촌학교가 특기·적성교육을 다양하게 실시하지 못하고 있다.

이같이 농촌학교의 특기·적성교육이 제자리를 잡지 못하는 것은 예·체능 등 분야별로 수강학생이 적어 강사들이 기피하고,교사들 또한 서무직원이 없는 소규모학교의 각종 잡무에 시달려 강의를 할수 없기 때문이다.

이이따라 지역적으로 교육기회가 적은 농촌학교 학생들이 원거리 학원을 다녀야하는 불편을 겪고 일부는 경제적인 이유로 교육을 포기하고 있어 농촌학교의 다양한 특기·적성교육을 위한 강사비 보조 등의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도교육청 관계자는“농촌학교에 수강료 일부가 지원되지만 1개과목에 한정돼 있어 다양한 특기·적성교육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농촌학교는 정책적인 배려가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이민용기자 mylee@kgib.co.kr 최종식기자 jschoi@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