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적인 스키시즌을 맞아 경기도내 스키장들이 속속 개장하고 있지만 1년을 기다려온 스키어들은 스키장 가기가 겁난다.
안전시설이 허술해 언제 부상당할지 모르는 불안감, 매년 되풀이되는 바가지 상혼에다 특별소비세 폐지를 무시한채 비싼 리프트요금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6일 밤 9시40분께 이천 지산포레스트 스키장.
아직 중급코스 1개의 슬로프만 개장했으나 400여명의 스키어들이 하얀 눈위를 위험스럽게 달리고 있었다.
500m길이의 슬로프 양쪽 가장자리에는 반드시 설치돼 있어야 할 안전그물이나 안전매트가 300m 이상 갖춰지지 않았으며 슬로프 아래쪽 추돌방지 펜스를 단단한 나무로 설치, 추돌시 부상위험이 높아 보였다.
가장자리는 눈도 아직 쌓이지 않아 일부 스키어들이 맨땅위에 넘어지는, 위험스러운 광경이 목격되기도 했다.
얼굴에 큰 상처를 입고 안전요원에게 이끌려 내려오는 부상자도 발생, 스키어들이 근심어린 눈으로 바라보기도 했다.
더욱이 특소세 폐지로 20% 이상 인하돼야 할 리프트요금(당일권 기준)도 4만원에서 8천원 내린 3만2천원을 받아야 하지만 3만5천원을 받고 있었다.
또 설렁탕 한 그릇에 7천원, 오뎅 5천원 등 예년과 다름없는 바가지 상혼도 스키어들의 눈살을 지푸리게 했다.
이보다 앞서 8시40분께 인근 양지파인리조트 스키장.
이곳의 안전시설도 미흡하기는 마찬가지였다.
중급코스 슬로프 오른쪽 70m 가량이 보호펜스가 설치되지 않았으며 스낵코너로 올라가는 계단을 미끄러운 철제로 설치, 스키부츠를 신은 채 스키어들이 엉금엉금 기어서 내려가기도 했다.
특히 슬로프를 비추는 조명도 다소 어두워 안전사고의 위험을 부추기고 있었다.
이 스키장 역시 스낵이나 음식값을 다소 비싸게 받거나 리프트요금도 3만2천원으로 특소세폐지 부분보다 3천원을 더 받고 있었다.
스키장의 한 관계자는 “안전에 위험스러운 부분이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안전시설을 제대로 갖추자면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기 때문에 어려움이 많다”고 말했다.
/신현상기자 hsshin@kgib.co.kr 신동협기자 dhshin@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