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시설 겨울나기 갈수록 어려워

연고가 없는 노인, 장애인, 고아 등 사회복지시설에서 생활하는 이들의 겨울나기가 해가 갈수록 힘들어지고 있다.

최근 4년간 기름값이 두배이상 인상된데다 주·부식 마련에 드는 비용도 물가인상으로 크게 늘어난 반면, 정부지원금은 몇년째 동결돼 있기 때문이다.

사회복지시설들은 수용인원수나 시설규모에 따라 일률적으로 지급되는 정부지원금에 의존하고 있으나 지원금이 2년째 빠듯한 상태에서 묶인데다 후원금도 크게 격감, 운영비를 최대한 쪼개써야 해 이곳에서 생활하는 이들은 추위와 배고픔을 피할 수 없는 형편이다.

인천시 부평구 관내 A장애시설의 경우 절약을 해도 연간 난방비가 2천여만원을 넘고 있지만 난방비로 쓸수 있는 보조금은 1천여만원에 불과하다.

이시설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후원금이 안들어 올 경우 연료와 부식을 외상으로 구입해야 할 형편이다.

국비와 시·구비로 지원되는 경로당 난방비는 경로당 1곳에 연간 2차례 걸쳐 모두 50만∼70만원을 지급하고 있으나 이는 지난 95년 유가를 기준으로 책정된 금액이어서 2배이상 오른 현재 유가에는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따라 난방비가 부족해 부분난방을 하고 있는 인천지역의 경로당에는 기온이 떨어지는 아침이나 저녁시간에는 노인들이 아예 찾지 않고 있다.

시내 경로당 관계자들은 “당국이 지원하는 난방비는 실제 난방비의 3분의1 수준에 불과하다” 며 “노인들이 용돈을 거둬 난방비에 보태는 일이 허다하다” 고 말했다.

이와관련, 시 관계자는 “국가보조금은 1년 단위로 예산을 편성하기 때문에 물가를 반영하기 어렵다” 며 “자치단체별로 형편에 따라 추가지원을 할 수 있으나 재정형편이 좋지않아 이마저도 불투명하다” 고 말했다. /손일광기자 ikson@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