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우주산업의 초석이 될 다목적 실용위성인 아리랑 1호가 오는 20일 오후 4시12분 (한국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반덴버그공군기지에서 발사된다.
미 오비탈사가 개발한 발사체 ‘타우러스’로켓에 실려 우주로 향할 아리랑 1호는 국산화 기술비율 80%로 국내 최초의 저궤도 실용위성이다.
지난 94년 11월부터 총연구비 2천241억원을 들여 제작한 아리랑1호는 수명이 다하는 오는 2002년말까지 지상 685㎞ 고도에서 매 98분(1일 14.5회) 주기로 지구궤도(태양동기)를 돌며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아리랑 1호는 항공우주연구소와 미국의 인공위성제작사인 TRW사가 공동으로 설계, 제작한 모델을 국내에 들여와 우리 연구진들이 이를 그대로 본떠 제작한 것으로 외국기술에 의존해온 위성의 국산화에 도전한다는 점에서 큰 관심을 끌고있다.
중량 470㎏(높이 235㎝x너비 134㎝x길이 690㎝)의 이 위성은 전자공학 카메라와 해양관측 카메라를 장착하고 우주에서 한반도 관측을 통한 정밀지도제작, 국토개발관리, 해상관측 및 해양오염관측, 농작물 작황분석등의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태양동기궤도의 특징은 인공위성의 궤도면이 태양에 대해 거의 고정된 각도를 유지하는 것.
이처럼 태양에 대해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므로 조도조건이 비슷해 상이한 날짜에 찍은 영상의 비교가 가능하고 태양전지판이 일정한 태양빛을 받게돼 전력생산이 안정적이며 위성체의 열제어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