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 쓰레기처리시설 타당성 논란제기

경기도와 부천시가 부천시 오정구 대장동에 외자유치를 통해 건립계획중인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설이 기술·경제적인 충분한 검토없이 무리하게 추진되는등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드러나 타당성에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13일 시와 부천YMCA 등 시민단체들에 따르면 2005년부터 직매립이 금지된 음식물쓰레기의 자원화를 위해 도의 외자유치 일환으로 미국 유니슨사가 5천만달러 (600억원)를 투자, 하루 2천여t 규모의 신기술 음식물처리시설을 부천시 오정구 대장동 일대에 설치하기로 하고 이달 21일께 최종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이에 시는 4만여평의 부지를 제공하게 되며 25년후면 모든 시설물과 운영권이 시로 양도되며 시발생 음식물 쓰레기중 100t도 무료처리된다.

그러나 유니슨사가 특허권을 보유하고 있는 이 시설은 하와이에 1일 250t 처리규모로 설치됐으나 현재 가동이 중단돼있는데다 도의 용역결과에서도 이 회사의 기술이 한국적 음식환경에 적용 가능한지 사전검증돼야 한다고 지적됐는데도 아직까지 기술상의 충분한 사전검증이나 검토없이 추진하고 있어 타당성에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또 이미 도가 1일 800t 이상의 물량확보를 보증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부천지역 시민단체들이 도 관내 각 지방자치단체와 인천시의 음식물쓰레기 1일 발생량 등 전반적인 처리실태를 조사한 결과 확보 가능한 물량이 500여t에 불과해 향후 위약금과 정상가동여부 등 경제성에도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부천YMCA와 시민단체들은 13일 성명을 통해 “경기도와 부천시가 대규모 시설 유치시 충분한 사전조사를 통한 타당성을 검증해야하는데도 절차를 무시한채 일방적으로 건설을 추진하는 것은 무모한 것으로 계획을 전면 철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부천=오세광기자 skoh@kgib.co.kr 조정호기자 jhcho@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