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용급위성 자력개발시대 서막

‘아리랑위성, 무사히 궤도에 진입해 다오.’

국내 최초의 다목적 실용급위성인 아리랑1호의 발사가 20일(오후 4시12분, 한국시간)로 다가옴에 따라 과학기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소는 초긴장 상태에 휩싸여있다.

미 캘리포니아의 반덴버그 발사장에서 미오비탈사가 제작한 타우루스로켓에 실려 발사될 저궤도위성인 아리랑1호는 위성제작기술 확보라는 목표를 내걸고 지난 94년부터 약 2천241억원을 투입해 추진해 온 과기부의 야심작. 국내 연구진의 손으로 주요 위성제작기술의 80%를 국산화시켰다는 점에서 성공여부가 비상한 관심을 끌고있다.

아리랑1호 발사가 순탄치 않을 경우 아리랑2호는 물론 우주센터건립 등 21세기 우주개발사업의 전망이 불투명해질 우려가 있어 관계자들이 밤잠을 설치며 아리랑1호의 성공을 기원하고 있는 것.

중량 470㎏(높이 235㎝x너비 134㎝x길이 690㎝)의 아리랑1호가 보내오는 자료는 실용급이라는 용도가 말해주듯이 환경감시, 어장 및 수역관리, 교통, 지구관측, 지도제작 등 우리 생활에 폭넓게 활용할 수 있다.

위성의 성공적인 궤도진입에는 무엇보다 발사체가 중요하다. 아리랑1호와 보조위성인 미 항공우주국(NASA)의 아크림위성을 싣고 우주로 향할 타우루스발사체는 4단 고체연료 발사체. 94년 3월 첫 발사에 성공한이후 지금까지 3회 발사를 모두 성공, 100%의 성공률을 자랑하고 있다.

위성의 성공여부는 발사후 1∼2일 경과하면 확실하게 판명난다. 실제 위성활동은 1∼2달후에 시작된다.

그렇다면 국가적으로 실용급 위성제작기술 확보가 왜 중요할까. 우선 실용급 위성제작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번에 보험사는 아리랑 1호의 경제적 가치를 4천400만달러로 책정했다. 그러나 국내 전문가들은 이를 우리 기술로 자체 제작할 경우 약 3천만달러면 가능할 것으로 보고있다. 위성의 수명이 대부분 3년이므로 이 주기로 계속 발사한다고 가정할 경우 자체기술력확보가 시급하지 않을 수 없다는 것.

또 위성산업은 타산업에 엄청난 기술파급효과를 미친다는 것이다. 우주라는 극한 상황에서 견뎌낼 수 있도록 위성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고성능의 첨단기기와 장비들이 총동원될 수 밖에 없다는 것. 위성은 한마디로 현대첨단과학의 결정체라는 설명이다. 이런 실용급 위성제작기술을 확보하고 있으면 첨단산업의 기술력이 우위에 설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한편 아리랑2호는 2천282억원을 투입, 오는 2003년 발사될 예정. 이 위성은 최근 미국이 발사한 해상도 1m의 아이코노스위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소의 유장수박사는 “이 아이코노스위성에서 보내오는 영상자료를 이용하는 나라들은 1천만∼2천만달러의 사용료를 지불하고 있다”면서 “우리나라 주변의 중국, 일본, 대만, 러시아 등이 모두 위성개발국가라는 점을 보더라도 21세기 위성성산업이 차지할 비중을 미뤄 짐작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합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