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12월이면 어김없이 찾아오는 크리스마스 발레 ‘호두까기 인형’이 올해도 예술의 전당과 국립극장 두 무대에 오른다.
크리스마스 이브 파티에서 호두까기 인형을 선물받은 클라라가 그날밤 꿈속에서 왕자로 변한 인형과 함께 과자의 나라를 여행한다는 호프만 원작의 독일동화 ‘호두까기 인형과 생쥐왕’의 줄거리가 성탄에 들뜬 어린이들을 매혹시킨다.
지난 십수년간 매년 송년무대를 장식, 매진사례를 기록할만큼 인기가 높은 이 작품을 올해도 국내 양대 발레단인 유니버설발레단과 국립발레단이 동시에 공연한다.
유니버설발레단은 뉴 밀레니엄을 앞둔 시점에서 오히려 100년전으로 거슬러 올라가 가장 ‘오리지널’에 가까운 무대를 보여준다.
‘호두까기 인형’은 1892년 마리우스 프티파의 첫 안무 이후 안무에 변형을 거듭, 개정판만 12개 이상 나왔을 정도.
유니버설발레단은 올해엔 차이코프스키 음악의 아름다움을 최대한 살리고, 무용수들의 화려한 개인기와 풍성한 춤들이 돋보인다는 바이노넨 판(34년)을 채택하되 연출은 러시아 키로프 발레단 식으로 했다.
지금까지의 작품이 동화적이고, 내용이 아기자기해 어린이 눈높이에 맞춰져 있었다면 이번 공연은 짜임새 있는 이야기 전개,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안무로 어른과 어린이 모두 즐겁게 볼수 있도록 구성한게 특징이다.
17∼26일 예술의 전당 오페라극장에서 공연하며, 대형 크리스마스트리가 서있는 극장 로비에는 기다리는 관객을 위해 애니메이션 ‘눈사람’이 상영된다.
20일부터 26일까지 국립극장 대극장에서 펼쳐지는 국립발레단의 공연에서는 호두까기 왕자와 클라라의 춤인 이 작품의 하이라이트 ‘사탕요정의 2인무’가 특히 압권일 것 같다. 국내 최정상급 무용수인 김지영-김용걸, 김주원-이원국이 커플을 이뤘다.
역시 바이노넨 판이 기본이지만, 과자나라가 펼쳐지는 2막에서는 미국판, 유럽판, 원전이 곳곳에 섞인다.
국립발레단도 올해 의상을 대폭 바꾸고 무대도 화려하게 보수했다. 어린이 관객들을 배려해 다양한 이벤트도 곁들인다. 객석과 극장 로비에 산타클로스를 배치하고, 매회 공연이 끝난뒤 무용수들이 로비에 나와 팬 사인회를 갖을 계획이다.
/이연섭기자 yslee@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