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점>영통소각장 문제 어디로 가나

수원 영통쓰레기소각장 가동과 관련 수개월간의 마찰이 14일 오전 주민의 분신과 유혈시위로 얼룩졌다.

그러나 격렬한 마찰에 비해 주민대책위와 시의 입장차이는 아주 간단하다.

주민대책위는 지난 5월 영통쓰레기소각장이 완공되고 4개월에 걸친 시험가동기간은 물론 환경관리공단과 산업기술시험원의 성능보증검사에서 이상이 없다는 결과가 도출된 11월초까지 무조건적인 소각장 가동 반대를 주장해 왔다.

이에따라 협상은 답보상태에 빠졌고 시의 강제반입과 주민의 물리적인 저지가 반복됐다.

그러나 주민대책위는 자체 회의를 통해 주민들이 요구하는 검사기관에 재검사를 통해 안전성이 확인된다면 정상가동을 반대하지 않겠다고 입장을 급선회했다.

또 시도 주민대책위의 재검사 요구를 받아들여 검사기관을 선정해 달라는 공문을 발송, 협상은 쉽게 타결될 것으로 전망됐다.

하지만 사소하게 여겨졌던 검사기간 동안의 소각장 가동문제에 대해 시는 가동을 주장하고 주민들은 결과뒤 가동을 주장하면서 양측은 팽팽히 대립했다.

이같은 대립 속에 이지역 출신 남경필국회의원과 수원환경운동센터가 중재에 나서 지난 13일 오후2시 시청 상황실에서 주민대책위와의 협상이 재개됐으나 1차 재검사기간인 4주동안의 소각장 가동에 대해 양측은 의견을 양보하지 않았다.

중재에 따른 협상마저 결렬되자 시는 이날 소각장 위탁인건비와 수도권매립지 반입료 등 4억5천망원의 예산이 낭비된다며 대규모로 직원을 동원해 반입을 강행하면서 분신과 유혈시위라는 극한 대립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시는 물론 중재에 나섰던 관계자들은 양측의 드러난 입장차이 보다는 그동안 누적된 불신이 유혈시위로 이어졌다고 지적한다.

시의 한 관계자는 “솔직히 4주후에 또다른 문제가 제기되지 않는다는 보장만 있다면 기다릴 수 있으나 1차검사이후 2∼3차검사가 계속되기 때문에 첫 협상이 부담스러울 수 밖에 없다”고 말해 이같은 불신의 한 단면을 나타냈다.

또 대책위원회 간부들도 기자회견을 통해 “내용에 대한 입장차이 보다는 시가 감정적으로 주민들을 대하고 있으며, 서로가 믿지 못하고 있다”고 밝혀 그동안 깊어진 골을 드러냈다.

이제 영통쓰레기소각장 문제는 단순히 드러난 입장차이를 넘어 분신주민 및 부상자 처리 등이 또다른 걸림돌이 될 전망이다.

이날 주민대책위가 심재덕수원시장이 상당부분 양보의사를 밝혔음에도 내용이 명확하지 않다며 강경투쟁을 선언해 이같은 가능성을 높게하고 있다.

쓰레기반입에 따른 격렬한 유혈시위에 대해 많은 사람들은 마찰자체가 모두 양측에게는 또다른 짐이 되는 만큼 깊어진 감정보다는 입장차이를 좁히는 것으로 서로가 합의점을 찾아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최종식기자 jschoi@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