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재활의 요람 우리마을 준공

정신지체 장애인들의 요람이 될 ‘우리마을’이 강화도 길상면 온수리에 아담하고 포근한 자태를 드러냈다.

오는 22일 준공을 앞두고 막바지 단장에 한창인 우리마을은 고등학교를 졸업한 정신지체 장애인들의 근로공동체이자 직업훈련학교.

격리수용이나 보호의 대상으로만 취급당하는 장애인들이 어엿한 사회구성원으로 함께 살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게 된다.

우리마을의 산파 역은 성공회의 서울교구장을 지낸 김성수(69) 주교로 선대로부터 물려받은 땅 2천평을 성공회 서울교구 사회복지재단(이사장 정철범)에 기증하는가 하면 설립기금 마련을 위해 성공회 대성당 뜰에서 손수 커피를 타서 팔기도 했다.

김 주교가 지난 94년 은퇴 이후 줄곧 직업학교 겸 근로공동체를 구상해 이제 결실을 눈앞에 두게된 우리마을은 연면적 610평 규모에 작업실, 세미나실 겸 음악치료실, 2인1실의 숙소, 거실, 스터디룸, 헬스룸, 샤워실 등을 갖추고 있다.

장애인들의 정서적 안정감과 환경친화적 요소를 고려해 70%를 목조로 꾸몄고 건물 외형과 내부구조 역시 미적 감각과 편리성을 최대한 살려 작품으로도 손색이 없다.

우리마을은 내년 초 18∼25세의 경증 장애인을 대상으로 66명의 학생(기숙 30명ㆍ출퇴근 36명)을 뽑아 본격적인 직업재활교육에 나선다.

수경재배, 콩나물재배, 제빵, 도자기 등의 기술을 가르치는 동시에 제품에 ‘우리마을’ 상표를 달아 판매도 시도할 계획이다. 교육기간은 3∼5년으로 한정하고 자활이 가능한 장애인들을 몇명씩의 소그룹으로 조직해 사회로 진출시키겠다는 복안도갖고 있다.

김성수 우리마을 원장은 “조금만 도와주면 얼마든지 자립이 가능한 장애인들이편견 때문에 방치되고 있다”고 아쉬움을 토로한 뒤 “앞으로 우리마을과 같은 복지시설이 더욱 늘어나야겠지만 보다 근본적으로는 가정과 사회에서 장애인을 수용해 별도의 복지시설이 필요없는 세상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박인숙기자 ispark@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