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미술가 이용덕 두번째 개인전

참신한 소재와 아이템으로 항상 새로운 시도의 설치미술 작업을 해온 젊은 작가 이용덕의 두번째 개인전이 수원 갤러리 그림시에서 21일부터 30일까지 열리고 있다.

이번 전시에서는 소나무와 FRP 등을 사용해 ‘무계획된 자연현상’이라는 주제를 밑 바탕에 둔 작품이 전시되고 있다.

흔히들 무(無)는 ‘존재가 변화하여 다른 존재가 되는 것’이라고 말하는데 이번 전시에서 이씨는 존재가 갖는 물성, 본질 등을 계획적 또는 의도적으로 성형·왜곡시켜 ‘자연현상’이라 명명하면서 야기되는 현실의 모순과 독선, 그리고 이분법적 현상을 이야기하고 이를 소진 또는 파기시키려 하고 있다.

지난 97년 서울 인사갤러리에서 열린 첫번째 개인전에서 선보였던 작품들과 비교하면 상당히 달라진 모습이다.

첫번째 개인전에서 그는 커다란 나무상자에 생명의 근원이자 따뜻한 모성의 상징적의미로서 여인의 가슴을 표현하고 이를 현대문명 발달과 불가분의 관계에 놓인 외로움과 소외, 이기심이라는 파생적 문제를 접근시킴으로써 현대사회에서 고통받는 모든 인간들이 결국은 평화롭고 사랑으로 충만한 어머니의 품을 향하고자 하는 본질적 순수와 평화에 대해 상징적으로 표현했다.

이씨는 “첫번째 개인전에서 작품을 통해 너무 많은 것을 얘기하려다 보니 작품이 너무 이야기적이고 회화적이었다”고 말하면서 “이번 전시회에서는 이야기 보다는 관람객 스스로가 작품을 보고 느껴 나름대로의 사고가 가능하도록 했다”고 말했다.

대학에서 조각을 전공한 그는 경희대 개교 50주년 기념전, 현대조각 7인의 기수전, 인사동 행위 예술제, 광주비엔날레 공공미수 퍼포먼스 등 10여차례 이상의 다수의 그룹전에 참여하면서 설치 및 퍼포먼스를 선보여왔는데 이번 전시에선 소품 5점과 함께 평면작품과 조각작품도 선보이고 있다. /박인숙기자 ispark@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