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도 연평균 실업률은 4.3%로 낮아지고 82만3천명의 새로운 일자리가 생겨 전체적인 고용상황이 크게 호전될 것으로 전망됐다.
그러나 새 일자리의 대부분을 단순노무직 또는 일용직이 차지, 대졸 이상 실업자 비중이 높아지는 등 고학력 실업난은 쉽게 해소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됐다.
한국노동연구원이 22일 발표한 ‘2000년 고용전망 및 정책과제’에 따르면 내년도의 경제성장률을 7%로 가정할 때 연평균 실업률은 4.3%로 올해의 6.2%보다 크게 떨어지고 실업자 수도 95만7천명에 머물러 100만명 아래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됐다.
이는 올해 높은 경제성장에 따른 구인·구직수요가 시차를 두고 나타나는데 따른 것으로 연구원측은 경기회복에 따른 취업증가가 내년에 두드러질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따라 내년도 고용증가율은 올해보다 4.1% 높아져 예년 평균 30만명을 크게 웃도는 82만3천명의 새로운 일자리가 생기고 경제활동인구도 2% 증가한 2천208만명으로 늘어나 경제활동참가율이 올해의 60.5%에서 61.2%로 높아질 것으로 추정됐다.
내년도 경제활동참가율은 그러나 외환위기 이전인 97년의 62.2%에는 못미치는 것이고 실업자 수도 97년보다 1.7배나 많은 것이어서 노동시장이 외환위기 이전으로 회복되는데는 아직 부족한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올해 신규취업이 어렵자 상급학교 진학 등을 이유로 노동시장을 떠났던 15∼29세의 청년층이 내년에는 노동시장에 재진입할 것으로 예상돼 이들 연령층의 실업자 비중이 올해의 41.2%에서 41.5%로 높아질 전망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