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건설 전문건설 하도급 절반넘어

일반건설업체가 건설공사를 수주한뒤 전문건설업체에 하도급하는 비중이 최근 10년 동안 20%포인트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건설협회가 지난 89년부터 98년까지 10년간 완공된 국내공사 12만9천436건을 대상으로 원가구성내역을 분석한 결과 89년 31.52%였던 외주비 비중이 95년 46.69%에 이어 98년에는 51.83%까지 높아져 10년 동안 20.31%포인트나 상승한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 이 기간중 재료비는 89년 34.32%에서 98년에는 24.57%로, 노무비는 21.07%에서 11.11%로 각각 10%포인트쯤 낮아져 대조적이었다.

건협은 이같은 외주비 증가, 재료·노무비 감소현상에 대해 건설공사의 대규모화, 전문화 추세에 따라 단순시공 분야는 전문업체에 하도급하는 경향이 확산되고 있는데다 시공의 기계화 진전으로 인력에 의존함에 따른 인건비 비중이 낮아지고 있다고 밝혔다.

1만1천396건을 분석한 98년의 경우 원가구성은 재료비 24.57%, 노무비 11.11%, 외주비 51.83%, 현장경비 12.50%(기계경비 3.22%)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공사규모가 크고 공사기간이 긴 대형공사일수록 외주비 비중이 높고 노무비 비중이 낮아 상대적으로 하도급 및 기계화 비중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와함께 공종별로는 토목공사는 재료비 28.26%, 노무비 15.28%, 외주비 49.38%, 현장경비 17.09%로 나타나 전체평균에 비해 재료·외주비 비중이 높고 노무·현장경비 비중이 낮게 나타났다.

반면 건축공사는 재료비 26.81%, 노무비 9.56%, 외주비 52.76%, 현장경비 10.88%로 나타나 토목공사와는 반대현상을 보인 것으로 분석됐다.

/표명구기자 mgpyo@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